경동맥 썸네일형 리스트형 경동맥 초음파의 free floating thrombosis에 대하여 경동맥 초음파 검사를 하다보면 매우 드물게 혈관벽에서 움직이는 혈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런 혈전을 Free floating thombosis라고 하고, 허혈성 뇌경색 환자의 급성기에 드물게 초음파에서 나타날 수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free floating thrombosis는 보통 정맥 혈전증이나 심장 질환에서 볼 수 있고, 경동맥에서는 매우 드물게 관찰됩니다. 여성보다는 남성에서 좀 더 발생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특별한 발생기전은 알려져있지 않으나, 죽상판의 손상으로 인한 불안정한 플라그와 응고 항진 반응이 혈전의 생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free floating thrombosis는 죽상경화증과 죽상판의 형성이 많이 발생하는 내경동맥에서 주로 보고되고, 총 경동.. 더보기 경동맥 초음파와 동맥경화 고지혈증 치료제 스타틴 보통의 동맥은 안쪽 벽이 깨끗하고 탄력이 좋습니다. 우리 인체 내에서 동맥은 심장에서 우리 인체 근육이나 주요 장기들로 흘러들어 가면서 산소가 풍부한 혈액을 운반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혈액에 기름기가 끼게 되면 혈류의 속도도 느려지고, 혈관의 직경이 늘어나면서 혈류 속도도 느려집니다. 그러면서 혈관은 탄력을 잃고 혈관 벽 안쪽에 찌꺼기가 끼면서 동맥 혈관 벽의 폭이 좁아집니다. 이를 동맥경화라고 합니다. 최근 우리는 건강검진이나 진료를 통해 경동맥 초음파를 쉽게 받을 수 있습니다. 경동맥 초음파로는 보통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이 있는 환자들에게서 쉽게 볼 수 있는 혈관 찌꺼기인 플라그나 혈관벽이 두꺼워지는 동맥경화를 간편하고 인체에 해가 없는 방법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경동맥이 우리 인체 전.. 더보기 경동맥 초음파에서 나오는 위험한 죽상반 - 취약한 죽상반(vulnerable plaque) 보통 경동맥 죽상경화증으로 뇌경색이 발생할 때는 크게 아래와 같이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1. 죽상경화증으로 인해 경동맥이 좁아져 혈류가 부족하게 되어 뇌경색이 일어날 때 2. 죽상판(atheromatous plaque)이 파열되거나 표면이 손상되어 해당 부위에 생성된 혈전이 혈류를 타고 흘러가다 원위부 혈관을 막아 뇌경색이 일어날 때 3. 생성된 혈전이 급격하게 커지면서 해당 부위의 혈류를 차단하여 뇌경색이 일어날 때관상동맥에서의 취약한 죽상판이란 혈전 생성으로 인해 색전성 질환을 일으킬 위험성이 높은 죽상판을 의미하며, 죽상판이 급격히 커지는 경우에도 이 용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죽상동맥 경화증은 혈류 역학적으로 혈류의 속도 및 전단력(shear stress)이 감소하는 부분이 잘 생깁니다...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