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갑상선

만성 신장 질환과 갑상선 기능 저하의 관계 만성 신장 질환은 신장이 점차적으로 기능을 잃어버리는 특징을 가지는 질환을 말합니다. 구체적으로는 사구체여과율이 60mL/min/1.73m2 미만으로 3개월 이상 지속될 때 진단 될 수 있는 질환입니다.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인구 고령화와 함께 만성 신장 질환이 많이 발병하는 알려져 있어 적절한 관리가 필요한 질병입니다. 만성 신장 질환의 경우 주요 위험 인자로 고혈압, 당뇨가 알려져 있고, 그 이외에도 만성 신장 질환과 고지혈증 등의 대사 증후군의 관계도 많이 연구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만성 신장 질환에서 동반되는 이상소견 중 갑상선 기능 저하가 보고되면서 갑상선 기능과 신장 기능의 관계에 대한 연구도 진행되고 있습니다. 만성 신장 질환 환자에서는 이차적인 적응성 갑상선 기능 저하증(si.. 더보기
어린이(청소년, 소아) 갑상선 질환 갑상선 질환은 청소년기에 흔한 편입니다. 특별히 갑상선 호르몬은 성장과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호르몬입니다. 태아와 영아기 때 갑상선 기능의 이상은 뇌와 골격계 발달에 이상을 줄 수 있고, 소아 및 청소년 시기에는 성장과 사춘기 발달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갑상선의 기능 갑상선은 호르몬을 만들고 내보내는 내분비 기관입니다. 갑상선에서 만들어지는 호르몬은 혈청 단백질에 결합되어 있는데 이중 0.02~0.3% 정도만 세포 내에서 생물학적인 작용을 하게 됩니다. 갑상선 자극 호르몬은 뇌 안에 있는 뇌하수체(시상하부) 신경 세포에서 관리됩니다. 선천성 갑상선 기능 저하는 갑상선 자체에 이상으로 생기는 것이고, 이차성 또는 중추성 갑상선 저하증은 뇌하수체의 이상으로 이차적으로 생기는 경우를 말합니다. 출생.. 더보기
갑상선 동맥의 해부학적 위치(anatomy of thyroid arteries) 보통 상갑상선동맥은 외경동맥의 첫번째 가지로 분지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렇지만 갑상선에 분포하는 동맥은 그 해부학적 관계가 다양하고 기시부 및 주행경로의 변이가 많다. 인종에 따라서는 5~45%에서 외경동맥보다 낮은 높이에서 기시한다. 상갑상선 동맥의 기시부(the origin of the superior thyroid arteries) 1. 상갑상선 동맥은 외경동맥의 첫번째 가지에서 59.3%, 총 경동맥에서 24.4%, 총 경동맥 분기부(bifurcation)에서 15.1%의 순으로 기시하는 경우가 많았다. 2. 좌우를 비교하였을 때 우측에서는 약 74%에서 상갑상선동맥이 외경동맥에서 기시하였으나, 좌측에서는 약 44%에서만 관찰되었다. 하갑상선 동맥의 기시부(the origin of infer.. 더보기
미만성 경화 아형 갑상선 유두암 초음파. Ultrasound of diffuse sclerosing variant of papillary thyroid carcinoma. - 미만성 경화 아형 갑상선 유두암(diffuse sclerosing variant of papillary thyroid carcinoma, DSPTC)은 중등도 분화 갑상선 선암으로 전체 유두 갑상선암의 0.7~5.3%의 빈도로 보고되고 있는 아주 드문 아형이다.  - 보통 전형적인 유두 갑상선암에 비해서 젊은 여성에서 호발하고, 진단 당시에 국소적 림프절 전이 및 원격성 전이 발생률이 높은 편이다. 또한 치료 후에 재발 빈도도 높다.  - 진단된 뒤 수술실에서 전이성 림프절 병변을 완전히 제가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고 치료 후에도 재발하는 빈도가 높기 때문에, 수술 전 검사에서 미만성 아형이 의심된다면 전이가 의심되는 림프절에 대해 1차 수술 할 때부터 보다 적극적인 치료를 하여야 한다.  갑상선암의 .. 더보기
하시모토 갑상선염. hashimoto thyroiditis 하시모토 갑상선염은 만성 진행성 병변이기 때문에 비록 초기에는 정상 갑상선 기능을 유지하더라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갑상선 기능 저하증으로 진행될 수 있다.  정의 - 갑상선의 세포를 손상시킬 수 있는 면역세포의 작용이 증가되어 갑상선에 염증을 일으키는 만성 림프구성 갑상선염 - 이 질환을 처음으로 발견한 일본인의 이름을 따서 명명 - 가장 흔한 형태의 갑상선염 - 갑상선종을 뒤따르는 갑상선 기능 저하증의 가장 흔한 원인 병태 생리 - 1차적으로 하시모토 갑상선염의 자가면역반응은 림프 여포를 형성하는 림프구와 형질세포의 침윤을 일으킨다. - 2차적으로 대부분의 갑상선 여포는 파괴된다. - 결국 점차적으로 갑상선은 섬유화가 진행되고, 정상 갑상선은 림프 여포와 섬유화로 대체되면서 갑상선의 기능은 저하된다... 더보기
Subacute thyroiditis ultrasound. 아급성 갑상선염의 초음파 아급성이란 병의 진행속도가 급성과 만성의 중간 정도인 경우를 말한다. 아급성 갑상선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아급성 갑상선염의 특징 아급성 갑상선염은 갑상선의 통증 혹은 발열을 동반하는 염증으로 갑상선 실질이 파괴되어 발생하는 비화농성 염증성 질환입니다. 급성보다는 증상이 지속되는 시간이 길지만 만성보다는 지속 시간이 짧습니다. 40대 여성에서 주로 나타나고, 남성에 비해 여성이 3~6배 정도 많으며 여름에 주로 나타납니다. 증상은 갑상선 부위의 종대가 있고 통증은 점진적 또는 급격하게 시작됩니다. 원인은 보통 바이러스 감염으로 생기고, 대부분의 경우 발병 전 상기도 감염이 일어납니다. 아급성 갑상선염은 갑상선으로 과다한 양의 호르몬이 분비되도록 만들어서 초기에는 갑상선 기능 항진증(그레이브스병에 의한 .. 더보기
그레이브스병 초음파. ultrasound of Graves disease 그레이브스병은 갑상선 자극 호르몬 수용체에 대한 자가항체로 인한 갑상선 기능 항진증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면역질환으로 우리나라에서는 갑상선 중독증 및 갑상선 기능 항진증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  증상 및 임상적 특징으로는 미만성 갑상선 종대를 동반한 갑상선 기능항진증과 안구돌출 눈병증 및 피부병증 등이 있다.   초음파 소견은 보통 비특이적이지만, 갑상선의 미만성 종대, 불균질한 갑상선 실질 에코의 감소, 갑상선 실질 혈관 증가 및 현저한 갑상선 혈류 증가가 의심된다.  - 갑상선의 종대는 isthmus : 5mm 이상, AP diameter : 2cm 이상 - 갑상선 실질 에코의 감소는 혈류증가와 세포충실성의 증가 및 콜로이드 함량의 감소 때문이다.  - 하시모토 갑상선염에 비해 실질의 섬유화가 심하지 ..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