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담낭

Xanthogranulomatous Cholecystitis(황색 육아종성 담낭염)에 대하여 황색 육아종성 담낭염은 담낭암으로도 의심되는 드문 양성 염증성 질환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담낭벽의 비후가 특징적으로 나타나고 간, 담관, 십이지장, 횡행결장 등 담낭 주위 조직에 침윤이 동반하기도 하며, 영상의학적 소견으로는 담낭암과 감별이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황색 육아종성 담낭염의 병인 명확하게 규명된 내용은 없으나, 담석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고 담낭관의 폐색과 담즙의 저류로 인하여 급성 염증이 발생하면서 rokitansky ashoff sinus의 파열로 주변 조직으로 담즙이 유출되고, 이때 악화된 염증 반응으로 축적된 조직구가 비수용성 콜레스테롤과 담즙산 지질을 빨아들여 미세 농양을 만들어 결국 황색 육아종으로 발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만성적인 감염과 결석이 동반되는 것은 육아종성 신.. 더보기
담낭 천공(GB porforation)에 대하여... 담낭 천공은 급성 담낭염 환자의 5~10%에서 발생되는 가장 위험한 합병증입니다. 그러나 천공이 발생되어도 보통 증상이 급성 담낭염과 비슷하여 진단이 늦어져 사망률이 24%까지 이른다고 합니다. 천공은 보통 혈관분포가 적은 담낭 저부에서 흔하게 발생되고 담낭주위 농양, 복막염 그리고 주위 기관과의 누공을 형성할 수 있다고 합니다. 담낭 천공의 주된 원인으로는 담석증, 담낭염, 악성 종양, 외상, 약물 및 손상된 혈관분포 등이 있고 고령에게서 더 많이 발생된다고 합니다.  담낭 천공의 발생기전담낭 천공은 담낭관(cystic duct)에 매복(impaction)된 결석으로 인해 폐쇄가 일어나면, 담낭벽 내에 위치한 점액선이 담낭 내강으로 분비되어 담낭 팽창이 일어나고, 담낭 팽창으로 인해 혈행에 장애가 생겨.. 더보기
담석의 구성 성분에 따른 모습 담낭 담석증은 담도계에서 발생하는 가장 흔한 질환으로 건강검진이 활성화되면서 증상이 없는 상태에서도 흔하게 발견되는 질환입니다. 발생 빈도는 연령이 증가하면서 증가하고, 남성보다는 여성에게서 더 많이 나타납니다. 담석은 구성 성분 중 콜레스테롤이 차지하는 함량에 따라 콜레스테롤석, 혼합석, 색소성 담석으로 분류하거나, 육안적인 모양에 따라 콜레스테롤석, 색소성결석(갈색 및 흑색 색소성 결석)으로 분류하기도 합니다. 담석의 성분 및 병태생리 담석은 성분과 형성기전에 따라 콜레스테롤 담석(cholesterol stone), 흑색 색소성 담석(black pigment stone), 그리고 갈색 색소성 담석(brown pigment stone)으로 나누어집니다. 콜레스테롤 담석은 다시 순수 콜레스테롤 담석, 혼.. 더보기
담낭 선근종증 (adenomyomatosis GB) 건강검진 결과를 보다 보면 간혹 담낭 선근종증이라는 생소한 용어를 보게 됩니다. 선근종증이 무엇이고, 위험한 것인지 알아보겠습니다.  담낭 선근종증의 정의담낭의 선근종증은 양성의 과증식성 질환으로 두꺼워진 담낭 벽 내에 작은 낭종들이 관찰됩니다. 이런 작은 낭종들을 벽 내 게실이라고 하고, 담낭의 상피가 증식하면서 근육층으로 비대해집니다. 담낭 상피층이 근육층으로 비대해지면서 담낭 벽 내에 게실(꽈리 모양의 주머니)이 형성됩니다.  생각보다 말이 참 어렵습니다. 결론적으로 담낭 선근종증은 담낭 벽이 두꺼워지고, 두꺼워진 담낭 벽 안에 작은 낭종들이 있는 특징적인 질환을 말합니다.   담낭 선근종증의 증상 특별한 증상은 없습니다. 다만 담낭 안에 돌을 동반하고 있다면 오른쪽 갈비뼈 아래쪽에 통증이 있을 수.. 더보기
담낭의 용종성 병변(gallbladder polypoid lesions) _ 2017년 유럽 진료지침 담낭용종은 담낭 내부 점막의 융기성 병변으로 복부 초음파 검사에서 체위의 변화에 따른 움직임이 없고, 담낭벽과 비슷한 에코를 가지거나 고에코(hyperechoic)를 보이는 질환입니다. 대부분이 비 신생물성 용종(non neoplastic polyp)으로 악성화의 가능성은 거의 없으나, 약 10% 미만 정도는 신생물 용종으로 담낭암으로 진행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담낭 용종의 크기가 10mm 이상이거나, 복통 등을 동반하였을 경우, 결석과 용종이 동반하였을 경우에는 악성의 가능성이 있어 담낭 절제술을 권유합니다. 담낭 상피성종양의 전암성 병변 1. 선종 adenoma 2. 담관 상피내 종양 biliary intraepithelial noeplasm, BilN - 간내 결석 같은 만성 담도 질환의.. 더보기
원발성 경화성 담관염(primary sclerosing cholangitis) 원발성 경화성 담관염(primary sclerosing cholangitis)의 정의 원발성 경화성 담관염이란 원인 미상으로 발생하는 지속적인 담관의 미만성 염증과 섬유화를 특징으로 가지고 있습니다. 원발성 경화성 담관염은 담관의 파괴와 협착이 진행되는 담즙 정체성 만성 간질환을 말합니다. 원발성 경화성 담관염(primary sclerosing cholangitis), IgG4(immunoglobulin G4) 관련 경화성 담관염(IgG4-related sclerosing cholangitis)으로 구분됩니다. 원발성 경화성 담관염의 발생기전 및 통계 1. 성비 : 남성>여성 2. 연령대 분포 : 20~40대, 60~70대 3. 발생기전 - 몇 가지의 유전적인 소인이 있는 환자에서 정체불명의 외부 환경요.. 더보기
담낭암의 영상의학적 평가 담낭암의 형태학적 분류 1. mass replacing gallbladder 2. polypoid mass protruding into gallbladder lumen 3. wall thickening 본론 1. Polypoid mass : gallbladder polyp VS gallbladder cancer - 우리나라 연구자의 결과는 아래와 같다. neoplastic/nonneoplastic polyp을 구분할 수 있는 소견은 아래와 같다. 1. polypoid lesion의 크기가 1.5cm이상인 경우 2. sessile 모양 3. perception on unenhanced image 담낭의 용종성 병변(gallbladder polypoid lesions) _ 2017년 유럽 진료지침 담낭용종은.. 더보기
담즙 그리고 담즙종. Biloma 정의 담즙종은 1979년 Gould와 Patel이 간외복강 내로 누출된 담즙의 국한된 집합체로 처음 소개하였으나, 향후 담관 내의 담즙이 누출되어 간내 또는 간외 복강 내에서 피막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그 의미가 확대되었다. 원인 1. 대부분 수술이나 경피적, 경간적 시술 등과 같은 의인성 2. 복부 외상 3. 담도 결석 등의 자발적인 발생 - 자발적으로 발생하는 기전은 담도계에 폐쇄성 병변이나 경색이 발생하면서 담관 내 압력이 증가하여 유발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치료 최근에는 경피도관 배액술, 내시경적 유두괄약근 절개술, 내시경적 배액관 삽입술 등 비수술적 치료를 선호한다. 감염이 동반되어 있을 때는 적절한 수액요법과 항생제 치료가 필요하고, 직경이 수cm로 작은 담즙종의 경우는 치료없이 경과만 관찰..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