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초음파

새열낭종(branchial cleft cyst)에 대하여 경부 초음파 검사를 하다 보면 측경부에서 나타나는 종물을 흔하게 볼 수 있는데, 이 중 새열낭종(branchial cleft cyst)에 대해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새열낭종은 대개 어린이와 20~40세 사이의 성인에서 흔한 낭종으로 경부의 표재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쉽게 촉지가 되는 편입니다. 새열 낭종은 젊은 성인에서 통증이 없이 나타나는 가동성의 가장 흔한 선천성 낭종입니다. 새열 기형의 95%가 제2 새열에서 발생합니다. 제2 새열 낭종은 새열 흔적기관을 따라 쇄골 상부에서부터 편도와(tonsilar fossa) 사이에서 발생합니다. 특징적으로 경동맥 외측전방, 악하선 후방과 흉쇄유돌근 내측에 위치합니다. 경부에 나타나는 낭성 종괴는 보통 신생아나 유아기에서는 선천성 원인에 의해 나타나고, 염증이나 .. 더보기
불규칙적인 식사와 담낭 초음파 _ 초음파 교육 후기 담낭은 일반적으로 간의 좌엽과 우엽 사이 그리고 간의 뒤편에 붙어 있고, 소화액인 담즙을 저장하는 주머니입니다. 담즙은 간에서 생성되고, 우리가 음식물을 먹으면 장으로 분비되면서 그 역할을 합니다. 그래서 우리가 음식물을 먹기 전까지 담즙은 저수지 역할을 하는 담낭에 보관되어 있다가 우리가 음식물을 먹으면 소화를 시키기 위해 담낭은 수축하면서 담즙을 소장으로 분비하게 됩니다. 불규칙적인 식사와 담낭 현재는 생활환경의 변화나 다이어트 등으로 규칙적인 식습관을 못하기도 하고 1일 1식 등으로 삶을 유지하는 분들도 있으나, 통상적으로 1일 3식을 기본으로 하는 문화가 우리의 식습관입니다. 경험 상 여러 검진 대상자나 환자 분들의 초음파 검사를 해보면 담낭의 크기가 일반적이지 않는 경우가 종종 있었습니다. 특별.. 더보기
간암(HCC or hepatoma)에서 언급되는 bright loop appearance에 대하여 초음파(ultrasound, US) 검사나 CT(computed tomography)에서 간암(HCC or hepatoma)이 의심되는 경우를 의료현장에서 종종 볼 수 있습니다. 먼저 전형적인 간암의 초음파 소견은 아래 정도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1. small size : hypoechoic nodular lesion compared with normal liver parenchyma 2. large size : heterogenous nodular lesion due to fibrosis, fatty change, necrosis and calcification 3. with focal fat sparing : a peripheral halo of hypoechogenicity 간혹 간암(HCC o.. 더보기
병원 검사 결과지를 보면 mural lesion, mural nodule이라고 하던데, mural은 무슨 뜻인가요? 우리가 병원에서 종합검진을 하고 난 뒤 받은 결과지 내의 초음파 판독지에서 mural lesion 또는 mural nodule이라는 용어들이 종종 나옵니다. 또 CT 판독지에서도 mural thickening이라는 용어들도 종종 나옵니다. 여기서 mural이 무슨 뜻인지 알아보겠습니다.  mural은 일단 "벽"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영영 사전을 확인해보면 아래와 같이 나옵니다.  - of or pertaining to a wall ; being on, or in, a wall ; growing on, or against, a wall  결론적으로 mural은 벽에 존재하는, 벽에 있는, 벽에서 자라는, 벽 가까이 있는 이라는 뜻이 됩니다. 그럼 mural은 어떤 식의 용어로 사용되는지 한번 보겠.. 더보기
이식 신장의 초음파 검사(ultrasound of renal transplantation) 말기 신장 질환이 있는 환자에게서 신장 이식이 혈액투석이나 복막투석에 비해 사망이나 심혈관계 질환으로 이환될 확률이 낮고, 삶의 질이나 비용적인 측면에서 모두 더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다만 신장 이식 후 허혈성 또는 면역학적 신장 손상에 의해 급성 신부전이 발생하여 이식 신장의 기능이 악화될 수 있고, 단기(조기 이식 신장 기능 이상의 주된 원인은 급성 세뇨관 괴사, 급성 이식 거부, 약제 독성 등) 또는 장기적으로 서서히 이식 신장의 기능이 악화될 수도 있어서 신장 이식 후 이식 신장의 기능평가와 합병증 유무의 파악은 매우 중요하여 다양한 추적검사들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만성 신부전 환자나 신장 이식 후 이식 신장의 상태를 추정하기 위한 검사로는 혈액검사를 통하여 혈청 크레아티닌.. 더보기
비장 경색(splenic infaction) 비장의 해부학(anatomy of spleen) - 비장은 왼쪽 횡격막과 위(stomach) 사이에 위치한 복막 강내 장기입니다. - 종축은 왼쪽 10번째 늑골의 선상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 정상 크기의 상한선은 12cm * 7cm * 5cm 정도이고,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크기가 감소됩니다. - 비장은 gastrosplenic ligament, lienorenal ligament, phrenicocolic ligament에 의해 고정되어 있습니다. 비장의 기능(function of spleen) - 비장은 망상내피계의 가장 큰 단위로 신체의 대부분의 임파 조직을 포함하고 체액성, 세포성 면역반응의 시작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비장의 순환 1. 폐쇄 모델(closed circulation model).. 더보기
신장 결핵의 초음파(ultrasound of renal tuberculosis) 1 결핵균의 특징 - 결핵균은 이배수 시간이 15~20시간으로 아주 서서히 증식하는 균이다. - 결핵균은 잠복상태로 증상을 일으키지 않고 오랫동안 머무를 수 있으며, 숙주의 면역이 떨어지면 재활성화된다. - 결핵균이 인체에 흡입되면 폐포에 첫 번째 육아종을 형성하고, 단 1~5개의 결핵균만으로도 감염이 이루어진다. 다만 대개는 임상적으로 특이 증상 없이 자기 한정성 질환으로 지나간다. 자기한정성 질환 : 질환 자체의 성질 때문에 일정하고 한정된 경과를 취하는 질환 - 이러한 폐 병변으로부터 균혈증이 시작되어 다른 기관으로 전파되고, 이때 신장이나 전립선 실질에 결핵균의 집락형성이 이루어진다. 균혈증 : 균혈증은 혈액 중의 세균 감염에 대한 면역반응이 과도하게 일어나게 된 심각한 질병 - 6개월 후에는 자체적.. 더보기
문맥압 항진증 평가 _ 도플러 초음파. assess portal hypertension _ doppler ultrasound 간경변증 환자에서 문맥압 항진증 진단 및 평가는 아주 중요하다. 현재까지 문맥압 항진증을 평가하는 가장 정확한 방법은 간정맥 압력차(hepatic venous pressure gradient)를 측정하는 방법이지만, 침습적인 방법으로 임상에서 항상 사용할 수 없는 방법이다. 아직 검사자 간 재현성 부족으로 인해 임상적 유용성에 있어 많은 이견이 있으나, 도플러를 이용한 초음파 검사방법은 간경변증에 의한 혈류학적 평가에 있어 도전해볼 만한 가치가 있다. (계속 시도해보고 있으나, 생각처럼 쉽게 평가되지는 않는다.) 검사 방법 환자가 호기 후 최소한 5초간 호흡을 정지한 후 혈류 평가를 한다. 약 3회 정도 반복 측정하여 평균값을 구하면 더 좋다.  1. 간문맥(portal vein)의 혈류학적 평가 - 간..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