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부 초음파 검사를 하다 보면 측경부에서 나타나는 종물을 흔하게 볼 수 있는데, 이 중 새열낭종(branchial cleft cyst)에 대해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새열낭종은 대개 어린이와 20~40세 사이의 성인에서 흔한 낭종으로 경부의 표재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쉽게 촉지가 되는 편입니다. 새열 낭종은 젊은 성인에서 통증이 없이 나타나는 가동성의 가장 흔한 선천성 낭종입니다. 새열 기형의 95%가 제2 새열에서 발생합니다. 제2 새열 낭종은 새열 흔적기관을 따라 쇄골 상부에서부터 편도와(tonsilar fossa) 사이에서 발생합니다. 특징적으로 경동맥 외측전방, 악하선 후방과 흉쇄유돌근 내측에 위치합니다.
경부에 나타나는 낭성 종괴는 보통 신생아나 유아기에서는 선천성 원인에 의해 나타나고, 염증이나 종양 등 후천성 병변은 소아기나 성인에서 주로 나타납니다.
새열낭종의 발생학
태생 4주 말이 되면 4개의 중배엽궁을 태아 표면에서 볼 수 있습니다. 반면 5번째와 6번째 궁은 작고 태아 표면에서는 관찰할 수 없습니다. 점점 2번째 궁이 두꺼워지면서 밑으로 내려오면 4번째 궁과 만나게 됩니다. 그 결과 2~4번째 궁은 His동(sinus of His)으로 퇴화되고 His동 연시 퇴화되어 결국 8주 말이 되면 경부 앞쪽으로 평활한 피부 표면으로 바뀌게 됩니다. 보통 이 사이에 생기는 태생기의 불완전한 폐쇄로 인해 새열 기형이 발생하게 됩니다. 새열 기형의 약 95%는 제2 새열에서 발생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새열 기형의 근원이 되는 His sinus는 경로의 대부분이 경부의 종축방향으로 진행합니다. 다른 경부 종물들과는 달리 대부분의 새열 낭종은 종축배열을 합니다.
새열낭종의 초음파 소견(branchial cleft cyst of sonograhic fiindings)
Typical
1. 경계가 잘 그려지는 평활한 외연. sharply demarcated
2. 균일한 저음영의 내부에코
3. 후방에코증강을 보이는 낭성 종괴. posterior acoustic enhancement(70%)
Atypical
- 드물게 다양한 내부에코(출혈이나 염증이 동반된 경우)와 불규칙한 낭벽, 비전형적인 위치
- 세포 물질과 콜레스테롤 결정, 각질(keratin) 성분에 따라 내부에코가 변화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균일한 에코 증가를 보여 고형종괴로 오인할 수 있음
Intracystic echogenicity
1. anechoic : 41%
2. homogeneously hypoechoic with internal debris : 24%
3. heterogenous : 23%
4. pseudo solid : 12%
새열낭종 초음파 분석
1. 낭종의 위치 : Bailey의 분류
- 제 1형 : 경부 근막 밑의 흉쇄유돌근 앞 경계 부위
- 제 2형 : 가장 흔한 형태로 경동맥이나 경정맥에 접하고 있는 부위
- 제 3형 : 내경동맥과 외경동맥 사이에 위치하는 부위
- 제 4형 : 주혈관들보다 내측에 위치하여 인두 벽과 근접해 있는 부위
2. 낭종의 모양 : 원형, 타원형, 비정형
3. 낭종의 내부에코 : 흉쇄유돌근과 비교하여 무에코, 저에코, 고에코, 가성 고형 모양(pseudosolid appearance)
4. 내용물의 에코 균질도 : 균질, 비균질
5. 낭종벽 : 두께를 가진 낭종벽, 두께가 없는 낭종벽
6. 낭종의 배열 : 종축, 횡축
새열낭종의 감별진단
- 고에코와 비균질한 혼합에코 : 고형종괴와 감별
- 불규칙한 내격벽과 내부격벽 관찰 : 괴사성 고형종괴, 농양, 결핵성 임파선염, 염증성 침윤성 해마종 등과 감별
- 신경초종 : 고형이지만 후방에코의 증강, 외측 그림자, 초음파 투과성 등의 낭성 초음파 소견을 보이는 경우
> 신경초종은 종괴의 모양과 장축의 방향, 점감변연 및 낭종의 초음파적 특성인 초음파 투과성, 후방에코증가, 외측 그림자 등의 소견들이 새열 낭종과 매우 유사한 소견을 보이므로, 색도플러를 이용한 종괴 내 혈관의 추가적 확인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 낭종의 경우 낭종벽이 관찰되거나 압박 시 종괴의 변동(fluctuation), 낭종 내 무혈관성 등이 낭성 유사 초음파 소견(cyst like) 고형종괴와의 감별 진단에 도움을 줍니다.
- 경동맥 후방에 위치하는 경우 : 전이성 림프절, 림프종, 낭성 림프관종, 혈관종, 신경초종 등과 감별
새열낭종의 CT
1. CT 상 모양만 가지고는 다른 질환, 선천성 낭성종괴 및 농양과의 감별이 어렵습니다.
2. 경부의 새열기형은 주로 제2 새열에서 유래합니다.
3. 제 1 새열낭종의 경우 주로 이개주위의 낭성종괴로 보입니다.
4. 제 2 새열낭종은 가장 흔한 새열기형으로 CT상 흉쇄유돌근의 앞, 내경동맥의 외측, 악하선의 뒤쪽에 특징적인 위치를 가지는 편입니다. 대부분 조영증강되는 낭종벽을 가지지만 낭종벽의 두께는 염증의 동반 여부와 과거 병력에 따라 달라집니다. 모양은 원형, 난원형, 불규칙한 모양의 낭성 종괴를 보입니다.
5. 새열동은 보통 밖으로 개구하는 형태를 가지며, 염증은 흔하게 동반됩니다. 조영증강되는 모습은 고형의 종괴 또는 주위와 경계가 불분명하면서 조영증강되는 모습으로 나타납니다.
6. usually rounded or spheric, sharply cirsumscribed
7. fluid density centrally
8. thin wall
초음파 교육 공지
1. 방사선사를 위한 케이스 리뷰 교육 직접 검사한 약 2500여 개의 케이스로 만으로 3년 째 진행중인 문답식 교육입니다. 문답을 통해 실제 환자와 검사하는 느낌으로 교육하고, 이를 통해 객관적인 검사를 돕는 교육입니다. 교육 범위는 간. 담낭. 췌장. 비장. 신장. 방광. 전립선. 자궁. 난소. 갑상선. 경동맥. 림프절 입니다. 교육 대상은 임상에서 직접 초음파 검사 중이신 5년차 이하의 방사선사 선생님입니다. |
2. 초음파 1대1 스캔 교육 교육 대상자가 실제 근무하시는 의료기관을 찾아뵙고 직접 검사하시는 장비를 사용하여 교육해드립니다. 교육 직후 찾아오시는 환자 및 검진 고객을 대상으로 적용하실 수 있도록 1대1로 초음파 스캔 교육합니다. 교육 대상은 방사선사, 의사 두 직종입니다. 교육 범위는 상복부, 하복부, 갑상선, 경동맥, 투석혈관입니다. 교육 인원은 1대1 또는 2대1로 진행합니다. |
초음파 교육 문의
초음파 교육하는 황재섭입니다.
내과에서 초음파를 하면서 의료진과 방사선사에게 초음파 교육을 하고 있습니다.
mixed-chickadee-f8b.notion.site
참고문헌
1. 구인두 종괴로 나타난 제 2새열낭종 : 1 예보고. 백상현. 김현숙. 문승일. 최윤선. 조재민. 조성범. 윤숙자. 김대홍. 윤융규. 대한방사선의학회지 2001;44:671-674
2. 제2새열 낭종의 초음파 소견 ; 다양한 소견들과 진단에 도움이 될 만한 소견들.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영상의학과 교실, 이비인후-두경부외과학교실. 김홍철. 이준호. 남궁숙. 홍명선. 황임경.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제 24권 제 1호 2008
3. 새열기형의 전산화단층촬영소견. 석을혜. 박찬섭. 대한방사선의학회지 1994 : 30(4) : 627~631
4. Second branchial cleft cyst. Radiopaedia
'의학논문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lymphadenopathy VS lymphadenitis (0) | 2024.09.30 |
---|---|
<초음파 교육> 간 초음파에서 종양의 혈류 평가에 대하여 (2) | 2024.09.04 |
말기 신부전 환자와 신장암 관계(장기간 투석 환자) (2) | 2023.08.07 |
방광 질환(bladder lesions) : 방광류(cystocele) VS 방광 게실(bladder diverticulum) (2) | 2023.04.24 |
간암(HCC or hepatoma)에서 언급되는 bright loop appearance에 대하여 (0) | 2022.09.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