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시모토 갑상선염은 만성 진행성 병변이기 때문에 비록 초기에는 정상 갑상선 기능을 유지하더라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갑상선 기능 저하증으로 진행될 수 있다.
정의
- 갑상선의 세포를 손상시킬 수 있는 면역세포의 작용이 증가되어 갑상선에 염증을 일으키는 만성 림프구성 갑상선염
- 이 질환을 처음으로 발견한 일본인의 이름을 따서 명명
- 가장 흔한 형태의 갑상선염
- 갑상선종을 뒤따르는 갑상선 기능 저하증의 가장 흔한 원인
병태 생리
- 1차적으로 하시모토 갑상선염의 자가면역반응은 림프 여포를 형성하는 림프구와 형질세포의 침윤을 일으킨다.
- 2차적으로 대부분의 갑상선 여포는 파괴된다.
- 결국 점차적으로 갑상선은 섬유화가 진행되고, 정상 갑상선은 림프 여포와 섬유화로 대체되면서 갑상선의 기능은 저하된다.
증상
- 일반적으로는 무증상
- 여성에게서 호발
- 대부분의 경우 갑상선의 기능은 정상
- 약 20% 정도에서 갑상선 기능 저하
- 약 5% 정도에서 하시중독과 같은 초기 중독증 소견
진단
- 미만성 갑상선종 환자에서 갑상선 기능 항진증 소견이 없고, 혈청 갑상선 자가항체가 양성인 경우 진단 가능
- 예외적으로 자가항체가 음성인 경우에는 초음파 검사를 함께 이용하여 하시모토 갑상선을 진단
초음파 소견
- 증상 및 조직학적 변화에 따라 다양
- 갑상선 여포 파괴, 림프구 침윤 및 염증의 만성화와 침범되는 범위에 따라 다양
- 전반적인 갑상선 실질에코가 감소
(갑상선의 림프구 침윤으로 인해 정상 여포 구조가 파괴되고, 세포의 충실도가 높아지면서 초음파의 투과도가 높아져서 갑상선 실질 에코는 감소하게 된다. 갑상선 실질 에코의 감소 정도는 갑상선 기능 저하증의 중증도와 비례한다.)
- 특징적인 미세결절화(micronodulation)는 95% 정도의 양성 예측도를 보임
(1~7mm 크기의 무수한 저에코의 고형 결절로 나타나고, 조직학적으로 이들은 림프구와 형질세포의 침윤이 있는 실질 조직이지만 섬유성 격벽에 의하여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초음파에서는 결절처럼 나타남)
- 초기에는 특별히 피막 하 부위부터 저에코성 변화를 보이고, 국소적 또는 미만성 갑상선 비대를 동반
- 갑상선 혈류 분포의 증가는 갑상선 기능저하증이 동반될 경우 나타나고, 갑상선 자극 호르몬에 의한 것으로 여겨짐
(그레이브스병과 혈류 증가가 감별되어, 하갑상선동맥의 PSV가 정상범위로 보이면 하시모토 갑상선염)
- 말기에는 섬유화가 진행되면서 거친 섬유성 중격이 나타나고, 갑상선 실질도 위축되어 전반적으로 띠 근육과 유사한 저 에코의 소견을 보이고, 갑상선 내 혈류는 거의 관찰되지 않음
- 중앙 또는 측경부에 여러개의 비후 된 림프절이 나타남
국소 결절성 하시모토 갑상선염
- 갑상선저하증에서 동반되는 경우 약 10%
- 약 45% 정도는 정상 갑상선 실질에서 발생
갑상선 림프종
- 초음파 검사에서 하시모토 갑상선염 내에 경계가 불분명하고 현저한 저에코성 고형 결절 관찰
- 하시모토 갑상선염 환자에서 갑가지 커지고 비균질한 저에코성 병변이 보이면 림프종을 의심하고 조직검사 시행
- 갑상선 악성 결절과 감별이 필요함
갑상선 기능 저하증이 자연 회복될 가능성이 높은 경우
- 젊은 연령
- 갑상선 기능 저하 발병 기간이 짧은 경우
- 갑상선 기능 저하 발병 원인이 다음과 같은 경우
: 다량의 요오드(다시마, amiodarone, 조영제 등) 섭취 중 발병, 항결핵제(PAS) 복용 중 발병
- 갑상선 스캔에서 방사능 섭취가 균일하게 증가한 경우
- 방사선 요오드 섭취율이 높은 경우
초음파 교육하는 황재섭입니다. | Notion
내과에서 초음파를 하면서 의료진과 방사선사에게 초음파 교육을 하고 있습니다.
mixed-chickadee-f8b.notion.site
'의학논문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normal sonographic values, 초음파 정상 범위 (0) | 2021.03.18 |
---|---|
LDH (LH, Lactate dyhydrogenase). 젖산탈수효소 (0) | 2021.03.15 |
Subacute thyroiditis ultrasound. 아급성 갑상선염의 초음파 (0) | 2021.03.09 |
그레이브스병 초음파. ultrasound of Graves disease (0) | 2021.03.09 |
췌장암 종양표지자 검사의 임상적 의미. CA 19-9 (0) | 2021.0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