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논문 정리

갑상선 동맥의 해부학적 위치(anatomy of thyroid arteries)

반응형

보통 상갑상선동맥은 외경동맥의 첫번째 가지로 분지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렇지만 갑상선에 분포하는 동맥은 그 해부학적 관계가 다양하고 기시부 및 주행경로의 변이가 많다. 인종에 따라서는 5~45%에서 외경동맥보다 낮은 높이에서 기시한다. 

 

상갑상선 동맥의 기시부(the origin of the superior thyroid arteries)

1. 상갑상선 동맥은 외경동맥의 첫번째 가지에서 59.3%, 총 경동맥에서 24.4%, 총 경동맥 분기부(bifurcation)에서 15.1%의 순으로 기시하는 경우가 많았다.

2. 좌우를 비교하였을 때 우측에서는 약 74%에서 상갑상선동맥이 외경동맥에서 기시하였으나, 좌측에서는 약 44%에서만 관찰되었다. 

 

 

하갑상선 동맥의 기시부(the origin of inferior thyroid arteries)

1. 하갑상선 동맥은 갑상선과 후두에 혈액을 공급하는 주된 동맥이다. 주로 갑상경동맥이나 쇄골하동맥에서 시작하여 일정한 주행경로를 가지는 편이다. 드물게는 대동맥궁이나 총 경동맥, 완두동맥 또는 추골동맥에서 기시하는 경우도 있다. 

2. 하갑상선 동맥은 갑상 경동맥(thyrocervical artery)의 첫번째 가지로 기시한 경우가 가장 많았다.(81.4%)

3. 쇄골하동맥에서 직접 기시한 경우도 있었다.(15%) 이때 대부분은 쇄골하동맥에서 추골동맥(vertebral artery)이 기시한 후 2cm 이내 부위에서 하갑상선 동맥이 기시하는 경우가 많았다. 

4. 추골동맥에서 기시한 경우도 드물게 있었고, 추골동맥의 제 1부위에서 기시하였다. 

 

 

참고문헌

1. 갑상선의 동맥 및 신경 분포에 대한 해부학적 연구. 1998.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 두경부 외과학 교실. 노영수. 김진환. 김현웅. 구영아. 송병철. 임현준

2. comprehensive review of thyroid embryology, anatomy, histology, and physiology for surgeons. 2018.

반응형
사업자 정보 표시
오버원프로 | 황재섭 | 서울특별시 관악구 봉천로 576 | 사업자 등록번호 : 418-70-00505 | TEL : 010-7224-7246 | Mail : hjs.sono@gmail.com | 통신판매신고번호 : 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