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초음파

경부 림프절(neck lymph node). cervical lymph node 개요 - 림프절은 생성된 림프구를 유지하고 적응 면역 반응을 담당하는 말초 림프 기관이다. - 두경부, 액와부, 복부의 주요 혈관 부근, 서혜부, 사지의 주요 혈관구조를 따라 집중되어 있다.  - 우리 전신에 약 450~600여 개의 림프절이 분포되어 있다.  - 청소년이나 젊은 성인의 경우 바이러스 및 세균 감염에 의한 염증성 림프절염이 주된 원인이지만, 50세 이상의 성인에서는 악성종양의 빈도가 증가한다.  정상 림프절 - 크기는 보통 3~25mm로 다양하고, 특히 턱밑과 상부 경정맥 주위의 림프절들이 크기가 크다.  - 정상 또는 반응성 림프절의 초음파 소견은 타원형의 저에코 피질 중심부에 고에코의 지방문이 존재하며 도플러 검사에서 지방문을 따라 혈류 패턴을 확인할 수 있다. 단 고에코의 지방문이 .. 더보기
췌장 낭성 병변과 초음파. cystic lesion of the pancreas - 다른 복부 장기들과 달리 췌장에 생긴 낭성 병변은 영상의학검사에서 단순 낭종처럼 보이더라도 간과해서는 안되는 병변임   - 잠재적으로 악성 병변으로 진행할 가승성이 있음   - 관내 유두상 점액성 종양(intraductal papillary mucinous neoplasm)과 같은 점액성(mucinous) 낭성 병변은 췌장암의 위험도가 있음 - 3cm 미만의 작은 췌장 낭성 병변의 경우 악성의 빈도가 낮다고 보고됨. - 증상이 없는 환자에서 우연히 발견된 악성 낭성 병변(malignant cyst lesion)은 낮게 보고됨.(약 3.5%) - 우연히 발견된 췌장 낭종들은 가성낭종보다는 종양성 병변일 가능성이 훨씬 높음 - 특히 췌장염을 동반하지 않는 경우에는 낭성 종양으로 간주하고 치료방침을 결정해.. 더보기
미만성 경화 아형 갑상선 유두암 초음파. Ultrasound of diffuse sclerosing variant of papillary thyroid carcinoma. - 미만성 경화 아형 갑상선 유두암(diffuse sclerosing variant of papillary thyroid carcinoma, DSPTC)은 중등도 분화 갑상선 선암으로 전체 유두 갑상선암의 0.7~5.3%의 빈도로 보고되고 있는 아주 드문 아형이다.  - 보통 전형적인 유두 갑상선암에 비해서 젊은 여성에서 호발하고, 진단 당시에 국소적 림프절 전이 및 원격성 전이 발생률이 높은 편이다. 또한 치료 후에 재발 빈도도 높다.  - 진단된 뒤 수술실에서 전이성 림프절 병변을 완전히 제가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고 치료 후에도 재발하는 빈도가 높기 때문에, 수술 전 검사에서 미만성 아형이 의심된다면 전이가 의심되는 림프절에 대해 1차 수술 할 때부터 보다 적극적인 치료를 하여야 한다.  갑상선암의 .. 더보기
normal sonographic values, 초음파 정상 범위 Neck1. thyroid  -  -  2. internal carotid artery  - peak systolic velocity(PSV) :  - end diastolic velocity(EDV) : 3. esophagus wall -  Abdominal1. liver span in the midclavicular line, cranio-caudal dimension - 2. gall bladder wall -  3. common bile duct -  - 1mm for each decade over age of 60 years senile persons - up to 10mm postcholecystectomy state4. portal vein  5. hepatic vein  - 5.6 ~ 6... 더보기
하시모토 갑상선염. hashimoto thyroiditis 하시모토 갑상선염은 만성 진행성 병변이기 때문에 비록 초기에는 정상 갑상선 기능을 유지하더라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갑상선 기능 저하증으로 진행될 수 있다.  정의 - 갑상선의 세포를 손상시킬 수 있는 면역세포의 작용이 증가되어 갑상선에 염증을 일으키는 만성 림프구성 갑상선염 - 이 질환을 처음으로 발견한 일본인의 이름을 따서 명명 - 가장 흔한 형태의 갑상선염 - 갑상선종을 뒤따르는 갑상선 기능 저하증의 가장 흔한 원인 병태 생리 - 1차적으로 하시모토 갑상선염의 자가면역반응은 림프 여포를 형성하는 림프구와 형질세포의 침윤을 일으킨다. - 2차적으로 대부분의 갑상선 여포는 파괴된다. - 결국 점차적으로 갑상선은 섬유화가 진행되고, 정상 갑상선은 림프 여포와 섬유화로 대체되면서 갑상선의 기능은 저하된다... 더보기
Subacute thyroiditis ultrasound. 아급성 갑상선염의 초음파 아급성이란 병의 진행속도가 급성과 만성의 중간 정도인 경우를 말한다. 아급성 갑상선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아급성 갑상선염의 특징 아급성 갑상선염은 갑상선의 통증 혹은 발열을 동반하는 염증으로 갑상선 실질이 파괴되어 발생하는 비화농성 염증성 질환입니다. 급성보다는 증상이 지속되는 시간이 길지만 만성보다는 지속 시간이 짧습니다. 40대 여성에서 주로 나타나고, 남성에 비해 여성이 3~6배 정도 많으며 여름에 주로 나타납니다. 증상은 갑상선 부위의 종대가 있고 통증은 점진적 또는 급격하게 시작됩니다. 원인은 보통 바이러스 감염으로 생기고, 대부분의 경우 발병 전 상기도 감염이 일어납니다. 아급성 갑상선염은 갑상선으로 과다한 양의 호르몬이 분비되도록 만들어서 초기에는 갑상선 기능 항진증(그레이브스병에 의한 .. 더보기
그레이브스병 초음파. ultrasound of Graves disease 그레이브스병은 갑상선 자극 호르몬 수용체에 대한 자가항체로 인한 갑상선 기능 항진증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면역질환으로 우리나라에서는 갑상선 중독증 및 갑상선 기능 항진증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  증상 및 임상적 특징으로는 미만성 갑상선 종대를 동반한 갑상선 기능항진증과 안구돌출 눈병증 및 피부병증 등이 있다.   초음파 소견은 보통 비특이적이지만, 갑상선의 미만성 종대, 불균질한 갑상선 실질 에코의 감소, 갑상선 실질 혈관 증가 및 현저한 갑상선 혈류 증가가 의심된다.  - 갑상선의 종대는 isthmus : 5mm 이상, AP diameter : 2cm 이상 - 갑상선 실질 에코의 감소는 혈류증가와 세포충실성의 증가 및 콜로이드 함량의 감소 때문이다.  - 하시모토 갑상선염에 비해 실질의 섬유화가 심하지 .. 더보기
parapelvic cyst VS hydronephrosis Parapelvic cyst - plunge into the renal sinus from the adjacent renal parenchyma. 1. 진성 낭종이 아닐 가능성이 높다. 2. 림프관에서 기원했을 가능성이 높다. - use the term renal lymphangiectasia 3. 대부분 신동부에 위치하고, 집합계와는 연결이 없다. 4. US : 신장 중앙에 무에코의 낭종성 병변으로 관찰되고, 수신증처럼 보여서 감별이 어렵다. 5. IVP와 CT를 이용한 수신증과 감별 포인트 - 조영제가 들어가면 수신증 - 조영제가 들어가지 않으면 신우주위 낭종 Hydronephrosis - dilatation of the urinary collecting system of the kidney (the..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