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논문 정리

Xanthogranulomatous Cholecystitis(황색 육아종성 담낭염)에 대하여

반응형

황색 육아종성 담낭염은 담낭암으로도 의심되는 드문 양성 염증성 질환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담낭벽의 비후가 특징적으로 나타나고 간, 담관, 십이지장, 횡행결장 등 담낭 주위 조직에 침윤이 동반하기도 하며, 영상의학적 소견으로는 담낭암과 감별이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황색 육아종성 담낭염의 병인

명확하게 규명된 내용은 없으나, 담석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고 담낭관의 폐색과 담즙의 저류로 인하여 급성 염증이 발생하면서 rokitansky ashoff sinus의 파열로 주변 조직으로 담즙이 유출되고, 이때 악화된 염증 반응으로 축적된 조직구가 비수용성 콜레스테롤과 담즙산 지질을 빨아들여 미세 농양을 만들어 결국 황색 육아종으로 발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만성적인 감염과 결석이 동반되는 것은 육아종성 신우신염의 발병 기전과도 유사한 소견을 보입니다. 

 이런 염증 반응과 주변 조직으로의 담즙유출로 인해 간을 포함한 담낭 주변 조직으로의 침윤이 나타날 수 있어 담낭암과의 감별이 어려워집니다. 

 

황색 육아종성 담낭염의 증상

특징적인 소견은 없으나, 우상복부 통증, 담도성 통증, 발열 등의 증상이 주로 있어 급성이나 만성 담낭염의 임상 양상과 유사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반면에 통증 없이 급격한 체중 감소와 황달로 악성 종양이 의심스러운 경우도 있습니다. 

 

황색 육아종성 담낭염의 영상의학적 소견

담석, 담낭벽의 비후 등 담낭의 염증성 병변의 특징과 큰 차이가 없는 비특이적인 소견이 나타납니다. 한 연구에 의하면 수술 후 조직검사에서 모두 담낭벽 내 결절(intramural nodule) 소견이 관찰되어, 영상의학적 검사에서 담낭 벽 내 결절을 발견한다면 황색 육아종성 담낭염을 좀 더 의심해 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담낭 초음파 _ 초음파 교육 후기

담낭은 일반적으로 간의 좌엽과 우엽 사이 그리고 간의 뒤편에 붙어 있고, 소화액인 담즙을 저장하는 주머니입니다. 담즙은 간에서 생성되고, 우리가 음식물을 먹으면 장으로 분비되면서 그 역

health-hjs.tistory.com

황색 육아종성 담낭염의 조직학적 소견

조직학적으로 단핵구의 미만성 침윤, 섬유아세포, 지질함유 대식세포(lipid laiden macrophage)의 증식이 특징적입니다. 육안적으로는 담낭벽의 황색 결절을 동반한 불규칙한 비후 소견이 나타납니다. 

 

황색 육아종성 담낭염의 합병증

황색 육아종성 담낭염은 주변조직으로 침투하는 특성이 있어 담낭 주변 조직과의 유착을 일으키면 Mirizzi 증후군이 드물지 않게 발생되고, 주변 장기와의 유착, 누공, 천공 형성 등의 합병증을 동반할 수도 있습니다. 

 

담낭 천공(GB porforation)에 대하여...

담낭 천공은 급성 담낭염 환자의 5~10%에서 발생되는 가장 위험한 합병증입니다. 그러나 천공이 발생되어도 보통 증상이 급성 담낭염과 비슷하여 진단이 늦어져 사망률이 24%까지 이른다고 합니

health-hjs.tistory.com

 또한 수술 후에 발생하는 합병증 또한 있는데 담즙 유출, 담즙 복막염, 담낭 출혈, 간농양, 상처 감염 등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담즙 그리고 담즙종. Biloma

정의 담즙종은 1979년 Gould와 Patel이 간외복강 내로 누출된 담즙의 국한된 집합체로 처음 소개하였으나, 향후 담관 내의 담즙이 누출되어 간내 또는 간외 복강 내에서 피막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

health-hjs.tistory.com

 

황색 육아종성 담낭염 진료과

담낭 질환은 내과나 검진센터에서 하는 초음파 검진에서 우연하게 발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상황에 따라서는 6개월이나 1년 주기로 추적검사만 하는 경우도 있고, 수술을 필요로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담당 의료진의 판단에 따라 수술이 필요한 경우 수술 가능한 일반외과 전문의 및 간담췌 내 외과 전문의가 있는 병원으로 진료 의뢰되기도 합니다. 

 

참고 문헌

1. 스테로이드 치료 후 광범위 절제술을 피할 수 있었던 황색 육아종성 담낭염 1예.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및 간 연구소. 서울대학병원 내과. 강진우. 이상협. 이재우. 이주영. 박재용. 이반석. 류지곤. 김용태

2. 황색 육아종성 담낭염 : 36예의 후향적 분석.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부산 백병원 외과학교실. 서상혁. 박정익. 김진수. 김광희. 최창수. 최영길

3. 황색 육아종성 담낭염.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 중앙병원 외과학교실, 이승규. 이영주. 박광민. 황 신. 민병철. 진단 방사선과학교실. 김표년.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 교실. 전훈배. 

4. 황색 육아종성 담낭염의 임상적 고찰.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노남규, 김인규, 정재필, 박진완, 김한준, 주선형, 전성은, 김주섭, 전장용. 방사선과학교실, 이관섭. 병리학교실, 전선영. 

반응형
사업자 정보 표시
오버원프로 | 황재섭 | 서울특별시 관악구 봉천로 576 | 사업자 등록번호 : 418-70-00505 | TEL : 010-7224-7246 | Mail : hjs.sono@gmail.com | 통신판매신고번호 : 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