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논문 정리

경동맥 초음파의 free floating thrombosis에 대하여

반응형

 경동맥 초음파 검사를 하다보면 매우 드물게 혈관벽에서 움직이는 혈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런 혈전을 Free floating thombosis라고 하고, 허혈성 뇌경색 환자의 급성기에 드물게 초음파에서 나타날 수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free floating thrombosis는 보통 정맥 혈전증이나 심장 질환에서 볼 수 있고, 경동맥에서는 매우 드물게 관찰됩니다. 여성보다는 남성에서 좀 더 발생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특별한 발생기전은 알려져있지 않으나, 죽상판의 손상으로 인한 불안정한 플라그와 응고 항진 반응이 혈전의 생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free floating thrombosis는 죽상경화증과 죽상판의 형성이 많이 발생하는 내경동맥에서 주로 보고되고, 총 경동맥에서는 상대적으로 드물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혈전이 생성되기 위한 3조건 - Vichow triad

 1. 혈류 정체(stasis)
 2. 혈관 손상(vessel wall injury)
 3. 응고 항진(hyper coagulability)

 

Bhatti 등의 free floating thrombosis의 정의 

1. 혈관 벽의 plaque에 연결된 신장된 혈전(elongated thrombus)이 심장박동과 연관되어 움직임을 보이며, 혈전 주변으로 혈류의 흐름이 관찰될 경우로 정의됩니다. 

2. plaque surface의 붕괴로 인해 유경성(pedunculated) 조직 파편이 부착된 형태인 경우 혈전의 견고함이 약하여 색전의 위험성이 높아집니다. 

3. 허혈성 뇌경색이나 일과성 허혈 발작이 있는 경우나 증상이 있는 부위의 같은 쪽 경동맥에서 free floating thrombosis가 발견되는 경우가 가장 흔합니다. 

Free floating thrombosis 의 초음파

1. 초음파에서 혈관벽의 plaque와 부착된 혈전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2. 혈류에 따른 움직임이 보일 경우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조직화(organized)가 오래된 혈전은 급성기에 형성된 혈전에 비하여 echogenicity가 뚜렷하고, 경계가 선명하게 관찰됩니다. 

Carotid duplex showed free floating thrombus in the left common carotid artery.

Free floating thrombosis의 영상의학적 검사 비교

1. angiography : 뇌혈관 조영술은 경동맥에서 혈류 흐름과 free floating thrombosis를 관찰하는데 적합하지만, 침습적이고 조영제가 많이 사용되기 때문에 만성 신장 질환이 있는 환자에게서는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2. MRA or CTA : thrombosis의 모양과 위치를 파악하는데 장점이 있으나 혈류의 흐름을 실시간으로 확인하기는 어렵습니다. 

3. ultrasound : 실시간으로 고해상도의 2D 검사와 도플러 검사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고, 비침습적으로 신속하게 혈관 내부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허혈성 뇌혈관 질환에서 근위부 경동맥을 검사하는데 가장 적합한 검사입니다. 

 

참고 문헌

1. 만성 총 경동맥 폐색에서 관찰된 무증상적 자유 부동 혈전.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신경과. 김중구. 이은재. 권순억

2. Free floating thrombus in carotid artery in a patient with recurrent strokes. case report. 2017

반응형
사업자 정보 표시
오버원프로 | 황재섭 | 서울특별시 관악구 봉천로 576 | 사업자 등록번호 : 418-70-00505 | TEL : 010-7224-7246 | Mail : hjs.sono@gmail.com | 통신판매신고번호 : 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