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료정보

기립성 저혈압

반응형

혹시 자리에 앉아있다가 갑자기 일어섰을 때

어지러움을 느끼신 적이 있으신가요?

 

오늘은 저혈압 중에서도 기립성 저혈압에 대하여

기록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아직까지는 저혈압에 대한 절대적인 기준은 없습니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우리가 팔뚝에서 혈압을 측정하였을 때

최고혈압(수축기혈압)이 100mmHg이하이고,

최저혈압(이완기혈압)이 60mmHg이하인

상태를 저혈압이라고 부릅니다. 

 

보통 혈압이 낮은 사람들은 대부분이

체질적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기립성 저혈압은 보통 일어나면서 3분이내에 

머리가 핑~하고 돌고 눈앞이 캄캄해질 때 의심할 수 있다고 합니다. 

저도 종종 햇볕에서 앉아 있다가 갑자기 일어날 때

어지러움이 느껴지기는 하더라구요.

 

수치적으로 기립성 저혈압의 특징은

수축기 혈압이 평균적으로 20mmHg이상 감소된다고 합니다. 

 

보통 저혈압인 사람들은 혈액의 흐름이 원활하지 않아서

어지러움이나 피곤함을 잘 느낀다고 합니다. 

그리고 위장병이나 심장의 기능이 떨어졌을 때

저혈압이 생길 수 있다고 합니다. 

또 몸의 자세가 바뀔 때 

저혈압 증상이 많이 나타난다고 합니다. 

 

보통의 경우 사람이 앉아있다가 일어서게 되면

혈액이 다리 쪽으로 쏠리게 되고

그러면서 심장으로 혈액이 들어오고 나가는 양이 줄어든다고 합니다. 

이 순간 우리 몸은 줄어드는 혈액의 양을 회복하기 위해서

자율신경계가 곧 바로 활성화된다고 합니다. 

 

기립성 저혈압의 경우 이러한 회복과정이

제대로 작동되지 못할 때 발생된다고 합니다. 

 

보통 기립성 저혈압이 생기게 되는 경우를 정리해볼게요.

첫째. 파키슨병 등의 신경질환이 있을 때

둘째. 나이가 들면서 신체 기능이 전반적으로 노화가 왔을 때

셋째. 종아리 등의 다리 근육이 많이 부족해졌을 때

넷째. 심장병을 이유로 혈관 확장제를 복용 중일 때

 

그렇다면 기립성 저혈압의 증세가 나타나지 않게 하려면

우리는 어떻게 해야할까요?

 

가장 먼저 오랫동안 같은 자세로 앉아있지 않아야 합니다. 

만약 오랫동안 앉아있어야 한다면

중간중간 까치발을 들고라도 다리근육을 수축시켜 주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평소에 계단오르기 등의 운동을 통해

종아리 같은 하체근육을 단련시켜주면 더 좋습니다. 

 

만약에 갑자기 일어났을 때 어지러움 등의 증상이 있다면

반드시 가까운 보건소나 내과등의 병의원을 방문하여 

의료진에게 진료받고 검사 받을 것을 권해드립니다. 

 

오늘도 건강한 하루되세요~^0^

반응형
사업자 정보 표시
오버원프로 | 황재섭 | 서울특별시 관악구 봉천로 576 | 사업자 등록번호 : 418-70-00505 | TEL : 010-7224-7246 | Mail : hjs.sono@gmail.com | 통신판매신고번호 : 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