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정보 썸네일형 리스트형 투석 환자와 심비대 등의 심장 질환 대부분의 투석 환자는 혈액투석 시작 시기에 좌심실 비대의 빈도가 높은 편입니다. 2019년 말기 신부전 환자의 주요 사망 원인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질환은 심혈관 질환이었습니다. 심혈관 질환 중 부정맥, 심장판막질환, 심부전 등의 심질환이나 심정지에 의한 사망 비율은 심근경색, 협심증 등 허혈성 심질환의 비율보다 높았습니다. 심장 질환의 정의 - 좌심실 비대(LVH) : 고혈압 대동맥판 협착증, 승모판 폐쇄부전 등 여러 원인 질환에 의해 심근에 가해지는 혈류역동학적 과부하에 대해 최종 분화된 심근세포의 크기가 증가되고 그 결과 좌심질 벽의 두께와 무게가 증가되는 보상 작용을 말합니다. 좌심실 비대는 허혈성 심질환의 주된 원인이 됩니다. - 허혈성 심질환 : 심장의 관상동맥이 좁아지거나 막히게 되.. 더보기 투석 환자의 폐렴(pneumonia)에 대하여...(호흡 곤란, 흉통) 말기 신부전의 투석 환자에서 주요 사망 원인은 감염성 질환, 심혈관 질환이라고 알려져 있고, 감염성 질환 중에서는 호흡기계 감염이 가장 흔합니다. 대한 신장학회에게 보고한 우리나라 혈액투석 환자의 사망원인 중 20.1%는 감염성 질환으로 그 주된 원인으로 패혈증과 호흡기계 감염으로 나타났습니다. 폐렴의 발생 장소에 따른 분류 1. 지역 사회 획득 폐렴(community acquired pneumonia : CAP) - 추가적으로 최근 건강관리를 도모하는 장기 요양시설이나 혈액 투석 시설 등에서 발생한 지역 획득 폐렴의 경우 의료기관 관련 폐렴(health care associated pneumonia : HCAP)으로 따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 그리고 우리나라 혈액 투석환자는 의료기관 투석 시설에서 지.. 더보기 요양 병원에 복수가 찬 환자가 왔다. 간 때문인가. 복수의 원인은? 요양병원은 보통 뇌졸중, 파킨슨병, 치매 등 보호자가 필요한 환자나, 간암, 위암, 대장암 등 임종을 앞두고 연명치료를 하는 환자가 많은 의료기관입니다. 보통 의사 또는 한의사가 진료를 하고 30명 이상의 환자가 입원 치료를 받을 수 있는 의료기관입니다. 이런 요양병원에는 여러 원인으로 복수가 찬 상태로 입원하는 환자들을 종종 볼 수가 있습니다. 복수가 생기는 가장 큰 원인은 간경화입니다. 보통 증상이 없는 간경화 초기(대상성 간경화) 환자의 반 정도에서 10년 이내에 복수가 발생한다고 합니다. 복수가 발생되면 환자는 일상생활이 불편해지기도 하지만, 감염이나 신부전 등 치명적인 합병증이 발생할 가능성이 늘어납니다. 보통 간경화 환자에서 복수가 발생될 경우 간이식을 받지 못한다면, 1년 이내 사망률 15%.. 더보기 만성 신장 질환과 갑상선 기능 저하의 관계 만성 신장 질환은 신장이 점차적으로 기능을 잃어버리는 특징을 가지는 질환을 말합니다. 구체적으로는 사구체여과율이 60mL/min/1.73m2 미만으로 3개월 이상 지속될 때 진단 될 수 있는 질환입니다.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인구 고령화와 함께 만성 신장 질환이 많이 발병하는 알려져 있어 적절한 관리가 필요한 질병입니다. 만성 신장 질환의 경우 주요 위험 인자로 고혈압, 당뇨가 알려져 있고, 그 이외에도 만성 신장 질환과 고지혈증 등의 대사 증후군의 관계도 많이 연구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만성 신장 질환에서 동반되는 이상소견 중 갑상선 기능 저하가 보고되면서 갑상선 기능과 신장 기능의 관계에 대한 연구도 진행되고 있습니다. 만성 신장 질환 환자에서는 이차적인 적응성 갑상선 기능 저하증(si.. 더보기 유육종증 (sarcoidosis) - 폐 육아종성 질환... 유육종증은 원인 불명으로 전신에 침범하는 육아종성 질환을 말합니다. 보통 폐나 비장 등의 림프계통으로 침범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1800년대 후반에 caesar boeck이 육종과 닮았다는 의미에서 "multiple benign sarkoid of the skin"이라고 언급하면서 "sarcoidosis"라고 불리게 되었습니다. 보통 20~40대의 비교적 젊은 여성에게서 호발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인구 100,000명 당 1명의 유병율을 보여 아주 드문 질환으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유육종증은 특별한 원인은 없으나 유전적, 환경적 원인이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유육종증의 증상 먼저 비특이적인 전신 증상으로 약 1/3의 환자에서 발열, 피로, 체중감소, 전신 쇠약감이 나타납니다. 그리고 대부분의 유.. 더보기 투석 환자의 팔에 혈관은 왜 커질까요? 말기 신장병 환자는 신장이 제대로 기능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우리 혈액 내에서 노폐물을 잘 걸러주지 못하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인위적으로라도 혈액 내에 노폐물을 걸러 주고 수분을 제거하여 전해질의 균형을 유지해주어야 하는데 그것이 투석입니다. 투석은 복막 투석과 혈액 투석으로 나누어집니다. 주위에 혈액 투석을 받는 분들이 있다면, 투석받는 팔에 혈관이 구불구불하게 커져 있는 것을 보셨을 것입니다. 투석 혈관은 투석받는 환자의 팔에 있는 동맥과 정맥을 이어 만든 자가 혈관 동정맥루와 환자의 혈관 상태가 좋지 않아 인위적으로 만든 인조혈관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주로 혈관이 구불구불하게 커지는 경우는 자가 혈관으로 만든 동정맥루에서 혈관의 확장이 일어난 것입니다. 그럼 투석 혈관은 왜 확장될까요??혈.. 더보기 병원 검사 결과지를 보면 mural lesion, mural nodule이라고 하던데, mural은 무슨 뜻인가요? 우리가 병원에서 종합검진을 하고 난 뒤 받은 결과지 내의 초음파 판독지에서 mural lesion 또는 mural nodule이라는 용어들이 종종 나옵니다. 또 CT 판독지에서도 mural thickening이라는 용어들도 종종 나옵니다. 여기서 mural이 무슨 뜻인지 알아보겠습니다. mural은 일단 "벽"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영영 사전을 확인해보면 아래와 같이 나옵니다. - of or pertaining to a wall ; being on, or in, a wall ; growing on, or against, a wall 결론적으로 mural은 벽에 존재하는, 벽에 있는, 벽에서 자라는, 벽 가까이 있는 이라는 뜻이 됩니다. 그럼 mural은 어떤 식의 용어로 사용되는지 한번 보겠.. 더보기 caliectasis(신배 확장) VS parapelvic cysts(신우 주위 낭종) caliectasis - 신배 확장은 신배에 소변 등의 흐름이 정체되면서 확장된 것을 의미합니다. parapelvic cyst - 신우 주위 낭종은 신장 실질 외부의 신우 주위에서 낭종성 변화를 보이는 양성질환입니다. 다른 신장 낭성 질환과 혼돈을 일으킬 수 있는 드문 질환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발생 원인은 확실하지 않지만, 림프관 폐쇄나 림프관 확장 등에 의해 유발되는 것으로 열려져 있습니다. - 보통 증상도 없고 치료기 필요하지는 않으나, 경우에 따라서 고혈압, 혈뇨, 수신증, 이차적 감염 등 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감별 진단해야 하는 질환으로는 보통 다발성 신동 낭종(multiple renal sinus cysts), 신동 지방종증(renal sinus lipomatosis)가 있고.. 더보기 이전 1 2 3 4 ···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