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만성 경화 아형 갑상선 유두암(diffuse sclerosing variant of papillary thyroid carcinoma, DSPTC)은 중등도 분화 갑상선 선암으로 전체 유두 갑상선암의 0.7~5.3%의 빈도로 보고되고 있는 아주 드문 아형이다.
- 보통 전형적인 유두 갑상선암에 비해서 젊은 여성에서 호발하고, 진단 당시에 국소적 림프절 전이 및 원격성 전이 발생률이 높은 편이다. 또한 치료 후에 재발 빈도도 높다.
- 진단된 뒤 수술실에서 전이성 림프절 병변을 완전히 제가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고 치료 후에도 재발하는 빈도가 높기 때문에, 수술 전 검사에서 미만성 아형이 의심된다면 전이가 의심되는 림프절에 대해 1차 수술 할 때부터 보다 적극적인 치료를 하여야 한다.
갑상선암의 전통적인 분류
- 유두암(papillary carcinoma), 소세포암(follicular carcinoma) 등의 분화암(well differentiated thyroid carcinoma,WDTC)
- 갑상선 수질암(medullary thyroid carcinoma, MCT)
- 미분화암(undifferentiated carcinoma) 또는 역행성암(andplastic carcinoma)
임상적인 특징
- 육안적으로 침습적인 변연을 가진 단단한 조직
- 엷은 섬유상의 형태를 취함
- 다초점
- 양엽성
- 갑상선 피막 외 침범이 흔하여 T병기가 높음
- 혈관 및 림프관 침습의 빈도가 높아 국소 림프절 전이 및 원격 전이 발생률이 높음
- 일반적인 유두암 보다 더 공격적
- 임상적으로 갑상선염과 혼돈하기 쉬움
- 경부 종괴를 주소로 내원하는 경우가 많음
초음파 특징
- 불균질한 저에코. heterogenous hypoechogenicty
- 불분명한 경계. ill defined margin
- 산발성 미세석회화. scattered microcalcification
- 미만성 갑상선 종대 가 일측 또는 양측에서 관찰
- 간혹 갑상선 종괴와 그 주변부위에 석회화되고 전이된 림프절
CT 특징
- 조영제 무 영상 : 갑상선 결절과 그 주변부위, 전이된 림프절에서 석회가 되는 특징적인 소견
- 초기 진단 시에 이미 원격 전이가 있는 경우도 있어, 수술 전 검사에서 PET CT 등의 검사로 원격전이 여부를 확인해볼 필요도 있음
세침흡입검사 결과 비교
미만성 경화 아형 유두 갑상선암 | 전형적인 유두 갑상선암 |
간유리모양 | |
고랑(groove) | |
가성봉입체(pseudo-inclusion) | |
중첩(overlapping) | |
핵의 상대적인 비대 | x |
핵의 다형태성 | x |
검사실 소견
- 항갑상선글로불린 자가항체(TgAb) 양성
- 보통 면역조직화학 염색 시
- 티로글로불린(thyroglobulin) 및 cytokeratin 양성
- calcitonin과 태아성암항원(carcinoem-bryonin antigen, CEA) 음성
- 병리조직검사 소견 상 림프관을 따라 림프구의 미만성 침습을 보임
하시모토 갑상선염과 감별이 필요
- 미만성 경화 아형 유두암도 혈액검사에서 항갑상선글로불린 자가항체가 양성인 경우가 흔하다.
- 갑상선의 양쪽 혹은 편측성 미만성 종대를 보인다.
- 경부 림프절 전이에 의한 경부 림프절 종대가 나타나기 전까지 하시모토 갑상선염과 감별이 어렵다.
치료
- 수술 전 반드시 경부 CT를 확인하여 전이성 림프절이 있는지 알아보아야 한다.
- 양측 갑상선전절제술과 중앙경부 림프절제술을 시행한다.
- 측경부에 전이성 림프절이 있다면 보다 광범위한 근치적 경부 림프절 절제술을 시행한다.
림프절 전이가 많고, 피막 외 침범이 흔한 경우의 치료
- 아주 공격적인 임상양상을 보이는 경향으로 보다 적극적인 림프절 절제술을 시행한다.
- 수술 후 방사선 요오드 치료와 호르몬 요법을 추가로 치료한다.
- 수술 후 외부 방사선 치료를 시행할 수도 있다.
- 원격 전이는 주로 폐에 발생하고, 뇌 및 뼈에도 드물게 전이될 수 있다.
수술 후 경과 관찰
- 재발을 예측하기 위해 혈중 티로글로불린 수치를 확인한다.
; 다만, 미만성 경화 아형에서는 혈중 갑상선자가항체가 증가되어 있으므로, 수술 후 또는 방사선 요오드 치료 후에 이를 이용하여 재발을 예측하기 쉽지 않다.
- 치료 후 추적관찰할 때 초음파, CT, PET/CT 등의 영상의학적 검사를 이용하여 전이된 림프절까지 확인한다.
초음파 교육하는 황재섭입니다. | Notion
내과에서 초음파를 하면서 의료진과 방사선사에게 초음파 교육을 하고 있습니다.
mixed-chickadee-f8b.notion.site
참고문헌
1. 미만성 경화 아형 갑상선 유두암의 특징적인 초음파 소견과 임상양상에 대한 증례 보고. 2013.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 내과학교실, 김성원. 최관. 최영식. 이강대
2. 미만성 경화 아형 우두 갑상선암. 단일 기관에서의 17년 경험. 2008.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 교실. 이소희. 이용상. 윤지섭. 정종주. 남기현. 정웅윤. 장항석. 박정수
'의학논문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부 림프절(neck lymph node). cervical lymph node (0) | 2021.04.22 |
---|---|
췌장 낭성 병변과 초음파. cystic lesion of the pancreas (0) | 2021.04.10 |
췌장암(pancreatic cancer) CT 진단 및 평가 (0) | 2021.03.19 |
normal sonographic values, 초음파 정상 범위 (0) | 2021.03.18 |
LDH (LH, Lactate dyhydrogenase). 젖산탈수효소 (0) | 2021.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