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료정보

대사증후군이란?

반응형

최근 국제학술지 'Cancer'의 발표 중 삼성서울병원 신동욱 교수 및 전소현 교수 , 강북삼성병원 최인영교수 공동연구팀의 연구에 따르면 폐경기 여성(40~74세) 93만여명을 분석한 후 "대사증후군을 개선하는 것만으로도 유방암을 예방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라는 결과를 내었습니다. 

 

대사증후군이 무엇이고, 어떻게 관리하면 좋을지 정리해봅니다. 

 

대사증후군이란

 심뇌혈관질환 및 당뇨의 위험을 높이는 체지방 증가, 혈압 상승, 혈당 상승, 혈액 중 지질 이상 등의 상태들의 집합을 칭하여 말합니다. 보통의 경우 대사증후군이 있으면 심혈관 질환이 일반인에 비해 2배 이상 올라가고, 당뇨의 발병을 10배 이상 증가시킵니다. 이런 대사증후군은 유전적인 원인과 환경적인 인자로 인해 함께 발생하는 포괄적 질병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대사증후군 원인

 대사증후군의 원인은 매우 복잡하지만, 보통 비만과 연관되어 인슐린의 저항이 가장 중요한 인자로 알려져있습니다. 인슐린의 저항이란 인슐린이 분비되는데도 불구하고 인슐린의 작용이 감소되는 상태를 말합니다. 인슐린의 작용이 감소되면 근육 및 간 등에서 혈당을 이용하지 못하면서 고혈당이 유발되고 이로 인해 당뇨병이 유발됩니다. 이렇게 높은 인슐린으로 인해 염분 및 수분이 증가하여 고혈압이 생기기도 하고, 지방이 쌓이는 것을 유도하여 비만을 촉진시키고, 혈액 중 중성지방의 농도를 높여 이상지질혈증을 유발하기도 합니다. 

 

대사증후군 진단

 아래의 요소 중 3가지 이상이 함께 있는 경우 대사증후군으로 진단될 수 있습니다. 

1. 복부비만 : 허리둘레 남성 90cm 이상, 여성 85cm 이상

2. 고중성지방혈증 : 중성지방(Triglyceride) 150mg/dL 이상

3. 낮은 HDL 콜레스테롤혈증 : 남성 40mg/dL 이하, 여성 50mg/dL 이하

4. 고혈압 : 130/85mmHg 이상 (수축기 130mmHg이상, 이완기 85mmHg이하)

5. 혈당 장애 : 공복혈당 100mg/dL 이상 또는 과거 당뇨병, 또는 약물 복용

 

대사증후군 치료

1. 생활습관 개선

항목 세부내용
담배 금연
체중 적절한 체중 유지 및 복부비만 예방
1. 체질량지수 20~25kg/m2
2. 허리둘레 남성 90cm미만, 여성 85cm미만
적절한 지방/ 포화지방산/콜레스테롤 섭취 1. 지방 : 전체 열량의 30% 이하
2. 포화지방산 : 전체 지방섭취량의 10% 이하
3. 콜레스테롤 : 하루 300mg
단가불포화 지방산 섭취 권장
신선한 과일 및 야채 섭취 하루 5회 이상 섭취 권장
생선 및 오메가3 일주일에 2회 이상 섭취 권장
알코올 남성 주당 21단위 미만, 여성 주당 14단위 미만
(단위 " 주류의 량 * 알코올 함량 비율%)
예> 4% 맥주 500cc 섭취 = 4*0.5 = 2단위
염분 섭취 소금 하루 6g 이하, 나트륨 하루 2.4g 미만
유산소 운동 수영 및 빠르게 걷기 등 매일 30분 이상

2. 의료적 치료

 a. 고혈압 치료

 b. 이상지질혈증 치료

 c. 혈당 상승 치료

 d. 인슐린 저항성 관리

대사증후군 예방

 대사증후군은 심혈관계 합병증을 증가시킨다는 점에서 발병 후 치료도 중요하지만, 예방 또한 매우 중요합니다. 

먼저 유산소 운동으로 신체 활동량을 증가시키고, 섭취하는 칼로리를 줄여 복부 비만과 인슐린 저항성을 낮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일부 연구에 의하면 우유 등의 유제품, 해산물 및 올리브유 중심의 지중해식 요리 등의 건강한 식습관이 대사증후군 예방에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또한 흡연과 과도한 음주를 피한다면 대사증후군 예방에 도움을 줄 것입니다. 

 

반응형
사업자 정보 표시
오버원프로 | 황재섭 | 서울특별시 관악구 봉천로 576 | 사업자 등록번호 : 418-70-00505 | TEL : 010-7224-7246 | Mail : hjs.sono@gmail.com | 통신판매신고번호 : 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