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에 50대의 우리나라 인구의 영양과 건강 상태를 분석한 결과 50대에 높은 유병률을 보인 만성 질환은 아래와 같습니다.
1. 고혈압(34.7%)
2. 비만(27.6%)
3. 고지혈증(이상지질혈증)(26.3%)
4. 당뇨병(14.6%)
위의 4가지 복합적인 요인으로 인해 생길 수 있는 질병이 만성콩팥병(Chronic kidney disease)입니다. 건강보험통계에 따르면 최근 만성콩팥병 환자의 증가율을 10% 이상으로 12대 만성질환 중 가장 높은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최근에 중장년 층에게서 급증하는 질환 중 하나입니다.
특히 말기신부전 환자의 5년 생존율은 약 50% 정도 밖에 되지 않습니다. 대장암(남자 56.1%, 여자 56.8%), 유방암(82.1%)과 비교해서 보아도 생존율이 좋지 않은 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관리가 많이 필요합니다.
만성콩팥병 환자는 다른 것보다 식사 관리가 중요합니다. 당이나 나트륨은 물론이고 인, 칼륨, 단백질 등도 제한적으로 먹게 됩니다. 노인 세대는 더욱이 칼슘, 비타민D, 비타민A, 비타민B2, 단백질 섭취는 부족한 편이고, 그에 반해 몸에 해로운 나트륨, 당, 지방 등은 많이 섭취하고 있어 더욱더 식이 관리가 필요합니다.
만성콩팥병
- 보통 3개월 이상 콩팥의 기능이 지속적으로 감소되는 질환을 말합니다.
- 콩팥은 사람의 주먹 크기 만한 장기로 척추를 기준으로 양쪽 등 쪽에 붙어있고, 하루에 약 200리터 정도의 혈액을 정화시킵니다.
- 보통의 성인은 하루에 1.5리터 정도의 소변을 배출합니다.
- 우리나라 성인의 9명 중에 1명은 만성콩팥병에 해당된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전체 인구의 고령화, 당뇨, 고혈압 및 서구화된 식습관과 관련이 있다고 합니다. )
만성콩팥병의 합병증
- 빈혈, 심혈관계 질환, 골감소증(골다공증)이 함께 올 수 있습니다.
콩팥 기능의 감소 시 우리 몸에 나타날 수 있는 변화
- 피곤함, 무기력, 식욕 부진, 구토, 가려움증, 경련, 야간 빈뇨, 부종 등이 있습니다.
만성콩팥병 생활습관 관리
- 만성콩팥병은 보통 짠 음식과, 운동 부족의 원인이 많다고 합니다.
1. 염분을 적게 섭취하기
우리의 혀 표면에는 유두라고 표현하는 오돌토돌한 돌기들이 있습니다. 그리고 그 유두돌기 안에는 미각세포를 포함하는 미뢰들이 있습니다. 미각세포들은 약 8~21 정도에 다시 생성된다고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짜게 먹다가 싱겁게 먹는 습관으로 바꾸려면 약 3주 정도의 익숙해지는 시간이 필요합니다. 3주 정도 싱겁게 먹는 기간이 익숙해지고, 우리 혀의 모든 미각세포들이 변화하는데는 약 3달 정도의 시간이 필요합니다. 3달 정도 후면 우리의 혀는 싱겁게 먹는 것이 익숙해집니다. |
2. 체중 조절하기
3. 야채를 많이 섭취하기
4. 정기적으로 건강검진받기
5. 운동 많이 하기
만성콩팥병 식사 관리
1. 국은 건더기 위주로 먹습니다.
2. 밥은 반공기 정도만 먹습니다.
3. 저염식 반찬을 주로 먹습니다. (적은 양의 소금으로만 조미하고, 반찬은 주로 신맛으로 먹습니다. )
4. 수저 대신 젓가락으로 식사합니다.
인 섭취 줄이는 방법 - 고기에 인이 많이 함유되어있습니다. 구워먹기 보다는 삶아서 먹으면 인의 섭취를 줄일 수 있습니다. 칼륨 섭취 줄이는 방법 - 뿌리가 있는 야채의 경우 약 10배 정도 되는 물에 담가놓았다가 흐르는 물에 닦아서 섭취합니다. - 껍질이 있는 야채의 경우 껍질을 제거해서 섭취합니다. - 야채는 얇게 썰어서 섭취합니다. |
만성콩팥병 투석 시기
- 보통 만성콩팥병의 5단계 중에 콩팥의 기능(사구체 여과율)이 약 10% 이하로 떨어질 때 투석을 고려합니다.
'의료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사증후군이란? (0) | 2021.05.10 |
---|---|
췌장암 초기증상은 어떤가요? (0) | 2021.04.13 |
프로포폴 효능으로는 무엇이 있나요? (0) | 2021.03.17 |
충수염의 증상은 어떻고, 진단은 어떤 검사로 하나요? (0) | 2021.03.16 |
허리디스크와 비만이 관계가 있나요? (0) | 2021.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