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장의 위치 및 구조
신장은 복부 뒤쪽에 위치하고 척추 기준으로 좌우 등쪽에 각각 1개씩 2개가 있습니다. 오른쪽 신장은 간의 아래에 위치하고, 왼쪽 신장은 횡격막과 비장 아래에 위치합니다. 높이는 보통 11번째 흉추와 3번째 요추 사이에 위치합니다. 보통 성인 기준으로 길이는 11~12cm, 폭은 5~6cm, 두께는 2.5~3cm 정도 됩니다.
신장은 혈액 중의 노폐물을 거르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신장동맥 및 신장정맥을 지나 복부대동맥 및 하대정맥같은 큰 혈관에 연결되어 있습니다. 신장에서 만들어진 소변은 신배, 신우 등 신장 구조물을 지나 요관을 거쳐 방광에 저장되고 요도를 통해 몸 밖으로 배출됩니다.

신장의 기능
신장은 혈액 속의 노폐물을 걸러내어 소변으로 배출시키고, 혈액 속의 전해질 농도를 조절하거나 혈압을 조절하는 등 다양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1. 노폐물 배설 기능
몸 속의 대사과정에서 발생한 노폐물을 소변을 통해 배설하는 것이 신장의 대표적인 기능입니다. 우리가 음식을 먹고 에너지를 만드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요소, 크레아티닌, 요산과 같은 다양한 노폐물이 신장을 통해 소변으로 배출되어 노폐물의 축적으로 발생하는 요독증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또 신장은 우리가 복용한 약물 및 그 대사물을 소변으로 배출하면서 체내세 쌓이는 것을 방지합니다.
2. 체내 항상성 유지
신장은 소변으로 배출되는 수분 및 염분, 칼륨, 칼슘, 마그네슘과 같은 전해질, 그리고 중탄산 혹은 수소 이온의 양을 정밀하게 조절합니다. 그 결과 우리 몸의 체액의 양, 그 속에 녹아있는 다양한 전해질의 농도, 산염기 평형 상태를 유지해 줍니다.
3. 내분비 기능
- 레닌 : 우리 몸의 혈압, 전해질 및 체액량을 조절합니다.
- 조혈인자 : 골수에서 적혈구 성숙을 촉진하여 빈혈을 방지합니다. 만성콩팥병 환자에서 조혈인자 생산 감소원인은 빈혈이 가장 큽니다.
- 비타민D 활성화 : 여러 경로를 통해 흡수, 합성된 비타민D는 최종적으로 신장에서 활성화되어 체내의 칼슘, 인의 균형 및 뼈의 건강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신장 기능 평가지표
1. 혈중 요소질소 농도(BUN : Blood Urea Nitrogen)
- 요소질소는 소변을 통해 배출되는 물질 중 하나입니다. 만약 신장의 기능이 나빠져서 신장이 혈액 속의 노폐물을 제대로 배설하지 못한다면 혈액 속의 요소질소 농도는 올라갑니다.
2. 혈중 크레아니닌 농도(Cr : Creatinie)
- 요소질소와 마찬가지로 신장의 기능이 나빠지면 혈액 속의 크에아니닌 농도가 올라갑니다.
3. 사구체 여과율(GFR : Glomerular Filtration Rate)
- 신장이 1분 동안 깨끗하게 걸러주는 혈액의 양을 사구체 여과율이라고 합니다. 정상 사구체 여과율을 분당 90~120ml 정도입니다. 신장의 기능이 나빠지면 사구체 여과율이 떨어집니다.
사구체 여과율 계산기(GFR Calculator)
사구체여과율(GFR)은 신장의 기능을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건강 검진 상 크레아틴 수치, 나이, 성별만 가지고도 수치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http://www.ksn.or.kr/sub10/sub_n_03.html 계산 결과 2단
health-hjs.tistory.com
만성 콩팥병 단계
단계 | 사구체여과율(1분당) | 특징 | 증상 | 치료 |
정상 혹은 1단계 | 90ml 이상 | 신장 기능 정상 (혈뇨, 단백뇨가 없을 경우 정상. / 만약 혈뇨, 단백뇨 등 초기 신장손상이 발견되면 사구체여과율이 정상이어도 만성 콩팥병 1단계에 해당) |
무증상 | 혈뇨, 단백뇨 여부를 체크하고 이상이 있을 때 치료 |
2단계 | 60~90ml | 신장기능 감소 시작 | 무증상이지만 BUN, creatinine 등 혈액 검사수치에 이상이 나타남 | 혈압 조절 및 원인 치료 |
3단계 | 30~59ml | 신장기능이 더욱 감소 | 피로, 식욕감소, 가려움증이 생김 | 혈압 조절, 신장기능의 악화를 늦추기 위한 치료 |
4단계 | 15~29ml | 생명유지에 필요한 신장의 기능 겨우 유지 | 피로, 식욕감소, 가려움증이 악화 | 투석 준비, 이식도 고려 |
5단계 | 15ml 미만 | 신장기능의 심각한 손상으로 투석이 반드시 필요 | 수면장애, 호흡곤란, 가려움, 구토 | 투석 및 이식 시행 |
'건강검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야간근무자 특수건강검진과 뇌심혈관질환 (0) | 2021.06.22 |
---|---|
자궁적출술과 자궁경부암 검진 (0) | 2021.06.22 |
대장암 증상은 어떻고 내시경 검사나 치료는 어떻게 진행되나요? (0) | 2021.04.30 |
건강검진 대상자는 어디서 조회할 수 있을까요? (0) | 2021.03.22 |
올빼미족 건강검진 & 야간작업자 특수건강검진 (0) | 2021.03.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