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논문 정리

간 내 지방성 병변(fatty lesion of the liver)

반응형

정상 간 조직 전산화 단층촬영 HU

 - 정상적인 간의 조영제를 사용하지 않은 HU는 40~50HU입니다. 

 - 조영제를 주입한 간조직의 HU는 80~120HU를 나타냅니다. 

 

간 내 지방 침윤(focal fat infiltration)

 - 간 내 지방 침윤은 간세포 내의 세포질 지질 공포 내로 중성지방이 침착하여 발생합니다.

 - 비조영 복부 전산화단층촬영에서 간실질의 hounsfield units(HU)가 40 미만이거나, 비장의 HU가 간보다 10HU 높을 때 진단이 가능합니다. 

 - 문맥조영기(portal phase)에서 비장과 간의 HU차이가 25 이상인 경우 간 내 지방 침윤을 시사합니다. 

 - 일반적으로 간의 지방침윤은 미만성으로 균질하게 나타납니다.

 - 종종 국소적으로만 지방 침윤이 발생하거나, 미만성으로 지방이 침윤한 가운데 국소적으로 지방 침윤 없이 정상 간이 남아 비 균질한 양상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 간 MRI T1 강조영상에서는 in phase image와 out of phase image를 비교하였을 때 신호강도의 저하가 발생하면 진단할 수 있습니다.

 - 또한 간 내 지방 침윤은 간 MRI 확산강조영상에서 확산 제한이 없으며, 쐐기 모양의 분명한 경계를 가지고, 인접한 혈관이나 담도에 종괴 효과를 보이지 않고, 엽(lobal) 또는 구역(segmental) 분포를 갖는 특징이 있습니다.

 

국소성 지방 결여(focal fat sparing)

 - 국소성 지방 결여는 간 내 문맥 혈류가 감소하고 간세포가 소량의 중성지방을 공급받을 때 발생합니다. 

 - 국소성 지방 결여가 발생하는 대표적인 위치는 간문부(hepatic hilum), 겸상인대(falciform ligament)에 인접하는 담낭와(gallbladder fossa) 인접 부위 및 피막하(subcapsular) 부위가 있습니다. 

 - 전형적인 국소성 지방 침윤 및 지방 결여 패턴은 혈관의 해부학적 변형, 즉 피막하정맥(capsular vein), 담도 주위 정맥(peribiliary vein), 담낭 정맥(cystic vein), 우측 위정맥(제1구역의 전엽과 제4구역의 후엽)과 연관성이 있습니다. 이런 정맥들은 문맥 혈류의 유입 없이 이상 정맥 환류체계(aberrant venous drainage system)의 원천이 되어 국소성 혈역학적 이상을 유발하여, 국소성 지방 침윤이나 결여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런 정맥들의 존재 여부가 간종괴와의 감별진단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혈관 주위 지방 침윤 및 지방 결여는 문맥주위 부종(periportal edema), Budd-chiary syndrome 때 나타날 수 있는 간울혈과 감별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혈관 주위 지방 침착 및 결여는 원인이 불분명합니다. 

 

참고자료

1. 간의 국소성 지방결여, 유기덕, 전대원,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반응형
사업자 정보 표시
오버원프로 | 황재섭 | 서울특별시 관악구 봉천로 576 | 사업자 등록번호 : 418-70-00505 | TEL : 010-7224-7246 | Mail : hjs.sono@gmail.com | 통신판매신고번호 : 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