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핵균의 특징
- 결핵균은 이배수 시간이 15~20시간으로 아주 서서히 증식하는 균이다.
- 결핵균은 잠복상태로 증상을 일으키지 않고 오랫동안 머무를 수 있으며, 숙주의 면역이 떨어지면 재활성화된다.
- 결핵균이 인체에 흡입되면 폐포에 첫 번째 육아종을 형성하고, 단 1~5개의 결핵균만으로도 감염이 이루어진다. 다만 대개는 임상적으로 특이 증상 없이 자기 한정성 질환으로 지나간다.
자기한정성 질환 : 질환 자체의 성질 때문에 일정하고 한정된 경과를 취하는 질환 |
- 이러한 폐 병변으로부터 균혈증이 시작되어 다른 기관으로 전파되고, 이때 신장이나 전립선 실질에 결핵균의 집락형성이 이루어진다.
균혈증 : 균혈증은 혈액 중의 세균 감염에 대한 면역반응이 과도하게 일어나게 된 심각한 질병 |
- 6개월 후에는 자체적으로 첫 번째의 폐병변은 없어지고 잠복기에 접어든다.
_ 5%에서 2년 안에 재활성이 일어나며, 5% 정도에서 일생을 통해 재활성이 일어난다.
_ 대부분의 활성화된 결핵을 살펴보면 당뇨, 면역결핍, 스테로이드 사용, 영양결핍 및 면역억제 등의 상황에서 재활성화된다.
신장 및 요로 결핵의 임상 양상
- 신장 결핵은 대부분 폐, 소화기, 골격계 결핵의 혈행성 전파로 발생되며, 소면의 결핵균 배양검사나 조직 생검 또는 수술적 방법 등에 의해 확진될 수 있다.
- 요로 결핵은 신요로계의 전장에 걸쳐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신장에서 가장 많이 발생한다.
- 신장에서의 결핵은 천천히 진행하고, 증상이 없으며 매우 파괴적이기 때문에 진단 당시에 신기능이 이미 상실된 경우가 많다. 이러한 신장의 파괴는 결핵균에 의한 다발 육아종의 형성, 공동 형성, 섬유화, 집뇨관의 폐쇄 등의 부분적인 변화에 기인하게 된다.
- 요관이나 방광 결핵의 경우 신요로계를 통해 이차적인 하행성 감염으로 발생한다.
- 요관 결핵은 요관의 전장에 걸쳐 발생할 수 있으며, 요관 방광 이행부에서 가장 잘 발생한다.
- 요로 결핵환자에서 신기능을 저하시키는 주요 요인으로 요관 협착이 매우 중요하다.
- 방광 결핵의 경우 급성 염증반응으로 충혈, 궤양, 결절 등이 요관구 주위에 발생하며, 방광벽의 섬유화를 유발하여 방광 위축에 이른다.
신장 결핵의 초음파 2편가기↓
신장 결핵의 초음파(ultrasound of renal tuberculosis) 2
신장 결핵의 초음파 소견 1. 신장의 크기와 형태 - 신장은 주로 분엽상으로 커져보입니다. - 신장의 크기는 측정치 중 가장 긴 수치를 기준으로 반대측 정상 신장과 비교하여 1.5cm 이상 차이를
health-hjs.tistory.com
참고문헌
- 요로 결핵의 진단 및 치료의 최근 동향, 동아대학교 의과대학 비뇨기과학교실 김수동, 조원열, 2009
- 신결핵의 초음파 소견, 국립의료원 진단 방사선과 윤종현, 이창준, 김승현, 1990
- 자기한정성질환 : 코메디닷컴
- 균혈증 : 의약품안전나라 의약품 안정사용정보
'의학논문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 내 지방성 병변(fatty lesion of the liver) (0) | 2021.08.04 |
---|---|
비침습적 간섬유화 검사 1 (non-invasive diagnostic test for liver fibrosis) _ AST/ALT ratio (0) | 2021.08.03 |
자가면역성 간염(Autoimmune Hepatitis,AIH) (0) | 2021.07.27 |
담낭의 용종성 병변(gallbladder polypoid lesions) _ 2017년 유럽 진료지침 (0) | 2021.07.21 |
원발성 경화성 담관염(primary sclerosing cholangitis) (0) | 2021.07.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