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BC(complete blood count, 전혈구 계산치)는 혈액 내 세포 성분 백혈구, 적혈구, 혈소판 등을 평가하는 검사입니다.
1. 백혈구의 수 (white blood cell. WBC)
2. 백혈구의 감별 계산 (WBC differential count)
3. 적혈구의 수 (red blood cell. RBC)
4. 적혈구 용적률 (hematocrit, Hct)
5. 혈색소 농도 (hemoglobin, Hb)
6. 평균 적혈구 용적 (mean corpuscular volume, MCV)
7. 평균 적혈구 혈색소 (mean corpuscular hemoglobin, MCH)
8. 평균 적혈구 혈색소 농도 (mean corpuscular hemoglobin concentration, MCHC)
9. 적혈구 분포지수 (red cell distributioin width, RDW)
10. 혈소판의 수 (platelet)
11. 평균 혈소판 용적 (mean platelet volume, MPV)
백혈구 이상
백혈구는 혈액에서 감염이나 외부물질에 대항하여 신체를 보호하는 면역 역할을 하는 세포입니다. 호중구, 호산구, 호염기구, 림프구, 단핵구 다섯 가지 세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정상인의 백혈구 수는 4~10 * 10*9/L입니다.
1. 호중구 감소
- 전체 백혈구의 반이상을 차지하고, 화농성 세균감염에 대한 체내의 주된 방어 작용을 합니다.
- 1.5*10*9/L 미만으로 호중구 수치가 감소한 경우를 말합니다.
- 0.5~1.0*10*9/L : 발열을 동반한 감염 위험성이 있습니다.
- 0.5*10*9/L미만 : 심각한 감염성 합병증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호발하는 감염 부위 : 폐, 비뇨기계, 장, 입안과 목, 피부 등
2. 호중구 증가
- 골수에서 생성이 증가하거나 성숙과정 중 말초혈액으로 조기에 방출이 증가하거나, 말초혈액의 풀(pool)에 장애가 있는 경우
- 급성 감염에 의한 경우는 골수에서 생성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말초혈액으로 방출이 증가하여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스테로이드 등 약물, 과도한 운동, 스트레스 후, 흡연 등으로 호산구 증가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일반적으로 감염이나 염증 후 10~25*10*9/L 정도 증가합니다.
- 백혈병양반응(leukemoid reaction) : 지속적으로 30~50*10*9/L 이상으로 호중구가 증가된 경우로 포도상 구균성 농양과 폐렴이 가장 흔한 원인이 됩니다. 백혈병 양반응과 감별진단을 하여야 할 진환으로 만성 골수성 백혈병을 포함한 골수 증식 질환이 있습니다.
만성 골수성 백혈병 : 미성숙 호중구 뿐 아니라 호산구와 호염기구의 증가가 동반되고, 뚜렷한 비장비대가 있습니다. |
3. 호산구 증가증
- 말초 혈액에서 0.5*10*9/L 이상의 호산구가 있는 경우를 말합니다.
- 흔한 원인으로 기생충 감염을 비롯한 약물에 대한 알러지, 각종 알레르기 질환, 교원성 질환, 암 등이 있습니다.
- 특발성 과호산구 증후군 : 이차적인 원인 없이 호산구 수가 1.5*10*9/L 이상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며, 호산구에서 분비하는 물질로 인해 장기 손상이 있는 경우로, 주로 심장과 중추신경계에서 발생하고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하고 모든 환자에서 골수 침범이 있습니다.
- 증상
ㄱ. 비특이적 증상 : 전신 무력감, 체중 감소, 피로
ㄴ. 소화기계 증상 : 구역질, 설사, 복통 등
ㄷ. 기타 : 울혈성 심부전, 심전도 이상, 간 혹은 비장 비대, 기침이나 폐 침윤, 의식저하, 치매 등
4. 호염기구 이상
- 호염기구 수가 0.2*10*9/L 이상으로 증가하는 경우 호염기구 증가증이라고 합니다.
- 원인 : 다양한 알레르기 질환, 알레르기 비염, 코 속의 폴립증(polyposis), 천식, 아토피성 피부염, 약물 알레르기, 일부 백혈병과 골수 증식 질환 등, 그리고 방사선 치료, 갑상선 기능 저하증, 비장 적출 후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대부분 이차적 현상으로 별도의 치료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5. 림프구 이상
- 림프구 감소증
ㄱ. 림프구가 1.5*10*9/L 미만으로 감소한 경우를 말합니다. (중증의 경우 0.7*10*9/L 미만으로 감소합니다.)
ㄴ. 가장 흔한 원인은 림프구 생성 이상으로 인한 단백 열량 영상실조 입니다. 영양 결핍 상태에서는 면역저하를 초래하여 감염의 위험성이 높아집니다.
ㄷ. 홍역, AIDS 등은 림프계 세포에 감염이 된 후 세포파괴를 일으켜 림프구 수를 감소시킵니다.
- 림프구 증가증
ㄱ. 림프구가 5.0*10*9/L 이상으로 증가한 경우를 말합니다.
ㄴ. 급성 또는 만성 감염성 림프구 증가증, 백일해 같은 바이러스 감염들, 매독, 결핵, 갑상선 항진증 환자에서 발견됩니다.
ㄷ. 경증 ~ 중증도의 림프구 증가증(<12*10*9/L)은 바이러스 감염에서 흔하게 발견됩니다.
적혈구 이상
적혈구는 인체 내 모든 세포로 산소운반을 하는 혈액세포로 당, 효소, 단백질, 전해질, 비타민 등을 함유하고 있습니다. 적혈구는 헤모글로빈을 운반하는 기능을 하며 산소를 운반합니다. 혈액 내 적혈구가 감소하거나 낮으면 혈액이 운반하는 능력이 저하되어 빈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1. 대적혈구성 빈혈
- MCV가 100fL 이상이면서 MHCH가 31% 이상인 경우로 주된 원인은 엽산이나 비타민B12의 결핍입니다.
2. 정적혈구성 빈혈
- MCV가 80~100fL 사이에 해당되고, 급성 실혈이나 재생 불량성 빈혈 및 골수 형상 이상 증후군 등에서 관찰됩니다.
3. 소적혈구성 빈혈
- MCV가 80fL 이하이면서 저색소성으로 MCHC가 31% 이하인 경우로, 우리가 흔히 말하는 빈혈인 철 결핍 빈혈과 만성질환에 의한 빈혈이 여기 속합니다.
*만성질환에 의한 빈혈 - 감염, 자가면역질환, 암 등을 포함하여 급성 혹은 만성 염증을 동반한 환자에서 발생합니다. - 대개 경미한 편으로 증상이 없는 경우 치료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
적혈구 증가증
1. 남자 : 혈색소(Hb) 17gm/dL 이상, 적혈구 용적률(Hct) 50% 이상
2. 여자 : 혈색소(Hb) 15gm/dL 이상, 적혈구 용적률(Hct)45% 이상
3. 원인 : 보통 증상이 없지만, 적혈구의 증가로 혈액의 점도가 증가하면 혈전성 합병증이 발생하는데, 사지 말단의 허혈부터 버드키아리(budd-chiari) 증후군까지 다양하다.
혈소판 이상
혈소판은 혈액 응고에 관여하는 불규칙하고 작은 모양의 혈구로, 전신의 혈액 속에 분포되어 있습니다. 혈소판은 혈관이 손상되었을 때 응고과정에 관여합니다. 혈소판의 정상 수치는 15~45만/μL이고, 평균 수명은 7~10일입니다.
1. 혈소판 생성 감소 (저 혈소판증)
- 저 혈소판증의 원인은 혈소판 생성 감소, 혈소판 분리(sequestration), 혈소판 파괴 증가의 기전을 통해 발생합니다.
- 선천적인 경우와 후천적인 경우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 일반적으로 적혈구 및 백혈구 생성 감소를 동반하는 골수 질환으로 발생합니다.
- 유전적인 저 혈소판증은 드물 기는 하지만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약초나 건강보조 식품에 의해서도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 비장 비대, 만성 간질환, 다른 기저질환을 동반할 수 있습니다.
- 점상 출혈 : 중증의 혈소판 감소가 있는 경우 점상 출혈(petechiae)이 정맥 압력이 증가하는 발목과 발에 나타날 수 있습니다. 점 모양으로 피부에 대한 외부 압박에 하얗게 변하지 않는 출혈로 혈소판 기능 이상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 출처 : khealth.com |
- 구강 점막에 출혈성 물집(blood blister)이 나타나면 치명적인 출혈의 위험성을 야기한다.
- 온몸에 멍이 나타날 수 있다.
2. 혈소판 생성 증가 (혈소판 증가증)
- 가장 흔한 원인은 철 결핍성 빈혈이고, 비장 기능이 저하되거나 없는 경우, 비장 적출 후, 출혈, 용혈, 감염, 염증성 장 질환, 아교질(collagen) 혈관 질환, 다양한 암 등의 원인으로 발생됩니다.
참고 문헌
1. CBC 검사에서 혈구 수치 이상에 대한 해석과 이해.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혈액종양내과. 박성규
2. khealth.com
3. 서울 아산병원. 인체 정보
'의학논문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갑상선 동맥의 해부학적 위치(anatomy of thyroid arteries) (0) | 2022.07.11 |
---|---|
경동맥 초음파에서 나오는 위험한 죽상반 - 취약한 죽상반(vulnerable plaque) (0) | 2022.06.08 |
polycystic kidney disease(ADPKD, 상염색체우성 다낭신)에 대해서 (0) | 2022.05.26 |
췌장에 생기는 지방성 병변(intrapancreatic fatty lesion) (0) | 2022.05.10 |
간섬유화(liver elastography) 검사에 대하여(transient elastography와 shear wave elastography 기준으로) (0) | 2022.0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