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료정보

유방암 상피내암(2) - 수술과 치료

반응형

"유방 조직 검사에서 유방 상피내암이라고 진단받았습니다. 유방 상피내암은 어떻게 치료하게 되나요?"

 

유방 상피내암과 림프절

순수한 상피내암의 경우 연구에 따르면 매우 낮은 액와부(겨드랑이) 림프절 전이를 보이고, 대부분 경미한 전이를 보이고 있어 보통 액와부 림프절 절제술이나 림프절 조직검사는 권장되니 않습니다. 그러나 유방 전절제술을 계획하고 있거나, 유방 보존술을 시행하는 경우 유방암의 위치가 액와부에 가깝거나 진단된 상피내암이 안 좋게 변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선택적으로 림프절의 조직검사를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유방 상피내암의 수술

보통 유관 상피내암(DCIS)과 소엽 상피내암(LCIS)의 치료 전에 유방 조직 검사와 호르몬 검사 등 조직 병리 검사를 진행합니다. 또한 영상의학과 검사를 통해 유방 상피내암의 상태 및 전이 여부를 확인한 뒤, 종양을 절제하기 위한 수술(유방보존술, 유방 절제술)을 합니다. 

 우연히 발견된 작은 관상피내암의 경우 넓은 범위의 유방 부분 절제술을 시행한 뒤 조직검사에서 종양과 절제된 면 사이에 일정한 거리가 확보되면 유방보존술로 충분히 관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유방 상피내암에서 유방 전절제수술을 고려하는 경우


1. 유방크기에 피해 혹이 상대적으로 큰 경우
2. 혹이 여러개인 경우
3. 미세석회화가 유방의 넓은 범위에 분포된 경우
4. 유방 부분 절제술을 3번 이상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절제연이 양성인 경우
5. 방사선 치료를 받지 못하는 환자의 경우

유방 상피내암의 치료

수술 후 유방 촬영술을 시행하여 미세 석회화 병소가 완전히 절제되었는지 확인합니다. 유방 보존술 후에 암의 재발을 낮추기 위해 한달반 정도 방사선 치료가 추천됩니다. 

 

유방 상피내암의 항암치료

보통 유방 상피내암은 수술 후 항암치료를 하지 않습니다. 

 

유방 상피내암의 호르몬 치료

유방 상피내암 치료로 유방 부분절제술 및 방사선 치료를 받은 뒤 의료진의 처방을 통해 약을 5년간 장기간 복용하면 양쪽 유방 모두 재발의 확률이 현저하게 감소된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또한 다른 연구 결과 방사선 치료의 여부와 상관없이 5년간 복용해도 좋다고 합니다. 

 

유방 상피내암의 추적 관찰

유방 전절제술을 시행한 경우에는 매년 반대쪽 유방촬영술을 검사받습니다. 

유방 부분 절제술을 시행한 경우에는 처음 5년간은 6개월이나 1년 간격으로 부분 절제술 한 유방의 유방촬영술과 필요에 따라 유방 확대 촬영술을 받습니다. 반대쪽 유방의 경우 1년 간격으로 유방촬영술을 받습니다. 6년차 부터는 1년 간격으로 유방촬영술을 받습니다. 필요에 따라 유방 초음파 검사도 받습니다. 

호르몬 치료를 받는 경우에는 자궁내막암의 발생 위험이 있어 1년 간격으로 산부인과 전문의를 통해 검진을 받습니다.  

 

참고 자료

1. 한국 유방암 학회

2. 8차 한국 유방암 진료 권고안

 

반응형
사업자 정보 표시
오버원프로 | 황재섭 | 서울특별시 관악구 봉천로 576 | 사업자 등록번호 : 418-70-00505 | TEL : 010-7224-7246 | Mail : hjs.sono@gmail.com | 통신판매신고번호 : 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