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사의 정의
설사는 비정상적으로 묽은 변이 항문을 통해 몸 밖으로 배출되는 것으로 평소보다 묽은 변이 하루 200g 이상 배출되거나, 빈도가 하루 3회 이상일 때 설사라고 정의합니다. 특별한 이유 없이 최소 3개월 이상 설사가 지속되면 기능성 설사라고 정의하는데, 대표적인 기능성 설사는 과민성 장증후군이 있습니다.
감염성 설사
감염원에 의해 발생하고 오심, 구토, 복통 등이 수반될 때 감염성 설사라고 말합니다. 설사의 기간이 14일 이내 일 때 급성이라고 하는데 대부분의 감염성 설사가 급성에 속합니다. 극내 감염성 설사의 원인은 보통 수인성, 식품 매개성이 원인으로 급성설사를 유발합니다.

설사의 원인
감염성 설사의 세균성원인으로는 대장균이 가장 빈도가 높았습니다. 도시에서는 황색 포도상구균, 농촌에서는 장염비브리오균이 많았습니다. 보통 6~9월의 음식이 상하기 쉬운 여름에 전체의 약 40% 정도가 발생되었습니다. 발생 장소는 음식점과 급식 시설이 전체의 약 80%를 차지하였습니다. 주된 감염원으로는 어패류, 물, 육류(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야채, 과일 등이었습니다.
음용수로 인한 설사의 사례를 분석해본 결과 지하수나, 지표수, 약수, 우물물, 간이 상수도물, 냉온수기물, 수돗물 등이 오염되어 설사를 유발하였습니다. 특별히 물이 오염되면 정수기 물도 안전하지 않다는 분석결과가 나왔습니다. |
설사 유병율
설사는 보통 응급실 내원 환자의 5%, 입원 환자의 1.5%를 차지할 정도로 일반적으로 많이 발생되는 질환으로, 선진국의 경우 1년에 1인당 1.4회, 개발도상국의 3세 미만의 어린이에게서는 1년에 3회 이상 경험하는 흔한 질환입니다.
국내의 경우 2008년 기준 인구 1백만 명 당 수인성, 식품매개성 질환 유행 발생 건수는 7.3건, 유증상자 수는 177명 이었습니다.
식중독
식중독은 소화관의 감염이 아니라 이미 우리 몸 밖에서 형성된 독소를 섭취하면서 발생되는 질병입니다. 황색포도상구균이 주된 원인균으로 열저항성독소가 함유된 음식을 섭취하고 2~7시간 이내에 구토 등의 증상이 주로 나타납니다. 식중독의 경우 대개 1~2일 이내에 저절로 좋아집니다.
참고문헌
1. 소화기계 감염 진료지침 권고안. 대한감염학회. 대한 화학요법 학회. 대한 임상 미생물학회. 2010
2.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건강정보
'의료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방암 상피내암(2) - 수술과 치료 (0) | 2022.07.04 |
---|---|
유방암 상피내암(1) - 증상, 정의, 검사 (0) | 2022.07.04 |
담낭 선근종증 (adenomyomatosis GB) (0) | 2021.11.24 |
빈혈(anemia)과 철분제에 대하여 (0) | 2021.11.05 |
부신(adrenal gland)에 혹(mass)이 생겼다면? (0) | 2021.1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