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낭 담석증은 담도계에서 발생하는 가장 흔한 질환으로 건강검진이 활성화되면서 증상이 없는 상태에서도 흔하게 발견되는 질환입니다. 발생 빈도는 연령이 증가하면서 증가하고, 남성보다는 여성에게서 더 많이 나타납니다. 담석은 구성 성분 중 콜레스테롤이 차지하는 함량에 따라 콜레스테롤석, 혼합석, 색소성 담석으로 분류하거나, 육안적인 모양에 따라 콜레스테롤석, 색소성결석(갈색 및 흑색 색소성 결석)으로 분류하기도 합니다.
담석의 성분 및 병태생리
담석은 성분과 형성기전에 따라 콜레스테롤 담석(cholesterol stone), 흑색 색소성 담석(black pigment stone), 그리고 갈색 색소성 담석(brown pigment stone)으로 나누어집니다. 콜레스테롤 담석은 다시 순수 콜레스테롤 담석, 혼성석(combination stone), 혼합석(mixed stone)으로 세분화할 수 있습니다. 순수 콜레스테롤 담석은 콜레스테롤 함량이 90%를 넘는 경우이고, 혼합석과 혼성석은 콜레스테롤 함량이 보통 50~90%입니다.
콜레스테롤 담석은 순수콜레스테롤 또는 점액소 당단백 기질과 뭉쳐진 콜레스테롤 결정체로 주로 구성됩니다. 흑색 색소성 담석은 비결합 빌리루빈의 칼슘염이 주된 구성 성분이고, 부가적으로 점액소 기질 내 칼슘 인삼염이 혼합되어 있습니다. 칼슘 인산염 성분으로 인하여 흑색 색소성 담석은 방사선 비투과(radio opaque)로 관찰됩니다. 갈색 색소성 담석은 담도 감염과 담즙 정체의 이차적 결과로 발생됩니다. 구성은 주로 담도 내 지질 또는 지방산 및 비결합 빌리루빈의 칼슘염이 장 내 세균에 의해 분해된 산물로 이루어지면서 일부에서 콜레스테롤 침착이 있습니다.
담석의 주된 구성 성분은 콜레스테롤, 빌리루빈, 칼슘 등으로 보통 한가지 성분으로만 구성된 순수 담석은 드물고, 대부분 여러 성분이 혼합된 형태로 존재합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1970년대 중반까지는 빌리루빈 담석이 호발하였고, 1980년대 들어서면서는 콜레스테롤 담석이 더 많이 나타나는 추세가 되었습니다. 콜레스테롤 담석의 증가는 서구화된 식습관과 위생상태의 개선에 따라 담도계에 발생하는 세균이나 기생충 감염의 감소로 추측되고, 동물성 지방식 및 단백질 섭취의 증가, 단수화물의 과잉 섭취 등이 콜레스테롤 담석의 형성에 영향을 많이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담석 성분에 따른 초음파 영상과 담석의 색깔
순수 콜레스테롤석은 반달 모양의 강한 에코 및 불명료한 후방음영을 보입니다. 혼성석은 초승달 모양의 강한 에코 및 불명료한 후방음영을 보입니다. 혼합석은 다수로 강한 에코와 명료한 후방 음영 감소를 보였습니다. 빌리루빈석은 표면이 매끈하고 강한 에코와 약한 후방 음영 감소를 보였습니다. 흑색석은 보통 크기가 5mm 이하이고 표면의 형태가 불규칙하며 후방 음영 감소가 약하거나 거의 없는 경우에 주로 나타났습니다.
콜레스테롤석은 주로 유성형과 초승달형으로 나타나고, 빌리루빈석은 주로 초승달형과 보름달형으로 나타납니다. 탄산칼슘석은 주로 반달형과 보름달형으로 나타나고, 인산칼슘석은 빈도는 적으나 주로 보름달형으로 나타납니다.
담석의 색도 성분에 따라 다릅니다. 순수 콜레스테롤석은 흰색 또는 황색으로 나타나고, 빌리루빈석은 흑색으로 나타나며, 빌리루빈 및 칼슘석은 주로 갈색으로 나타납니다. 콜레스테스테롤석에서는 거의 모든 색조가 다양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콜레스테롤석 가운데 혼성석과 혼합석에 빌리루빈 및 칼슘 성분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라는 보고가 있습니다.
담석의 형태별 초음파 영상
초음파에서 담석은 주로 담낭 안에서 후방음영 감소를 동반하는 고에코의 움직이는 병변으로 보입니다. 초음파에서 관찰되는 담석의 모습은 유성형(shooting star shape), 초승달형(crescent shape), 반달형(half moon shape), 보름달형(full moon type), 성진형(star dust shape)의 다섯가지 종류로 구분됩니다.
1. 유성형은 강한 에코가 후방으로 감쇠되면서 꼬리를 보이고 점차 후방 음영 감소로 이행하는 형태를 보입니다.
2. 초승달형은 강한 에코가 초승달 모양으로 비교적 예리하게 관찰되면서 명료한 후방 음영 감소를 동반하는 형태를 보입니다. 초승달형 콜레스테롤석은 대부분 콜레스테롤 및 빌리루빈 등의 혼성석 또는 혼합석일 가능성이 높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3. 반달형은 강한 에코가 반달 모양으로 관찰되고 명료한 후방 음영 감소를 보이는 형태를 보입니다. 보통 가장 많이 나타나는 형태가 반달형 담석입니다.
4. 보름달형은 강한 에코가 후방 음영 감소에 관계없이 담석의 후면까지 나타나 담석의 전체적인 윤곽이 나타나는 형태를 보입니다. 보름달형은 빌리루빈석, 탄산칼슘석 및 인산칼슘석 외 비콜레스테롤석에서 빈번하게 나타납니다.
5. 성진형은 작고 부정형의 다수의 담석이 강한 에코로 나타나며 후방 음영 감소는 담석의 후면에 약하게 보이거나 나타나지 않는 형태를 보입니다. 성진석은 비콜레스테롤석에서 주로 특징적으로 나타납니다.
단순 복부 촬영에서의 담석
보통 담석 중 방사선 투과성 담석이 80%를 차지하고, 이 중에서 86%는 콜레스테롤 결석이고, 방사선 비투과성 담석의 67%는 색소성 결석이라는 보고가 있습니다.
담석의 CT 영상
콜레스테롤 담석은 주위 담즙보다 어둡게 보일 수 있습니다. 반면 색소성 담석은 CT에서 비교적 잘 보이는 편입니다. 콜레스테롤 성분이 주로 구성된 색소성 담석은 수분과 동일 밀도를 보여서 담즙과 같은 밀도(isodense) 소견을 보여서 조영증강 되지 않은 CT에서 보이지 않을 수 있지만, 보통 색소성 담석을 잘 보기위해서는 담도 조영제를 사용할 필요할 수 있습니다.
참고 자료
1. 담석의 초음파상과 성붑분석에 관한 비교연구.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외과학교실. 김진홍. 김훈식. 이준성. 이문성. 조성원. 이문호. 김선주. 심찬섭. 김재준. 송영식. 문철. 유희. 김익수. 허경발. 1992
2. 영상 진단을 이용한 담석의 성분 예측에 관한 연구 - 초음파, 전산화단층촬영 및 자기공명영상을 중심으로 -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방사선과학교실 및 소화기병연구소. 박승우. 송시영. 강진경. 유형식. 정재복. 박인서. 이은섭
3. 담석의 병태생리.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주광로. 대한내과학회지 : 제75권 제6호 2008
4. Proposal of multicenter study on gall stone disease.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소화기내과. 김명환
'의학논문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동맥 초음파의 free floating thrombosis에 대하여 (0) | 2022.08.08 |
---|---|
이차성 고혈압 ; 신장 동맥 협착증 (0) | 2022.08.05 |
이식 신장에서의 동맥 협착 (Transplant renal artery stenosis) (0) | 2022.08.01 |
이식 신장의 초음파 검사(ultrasound of renal transplantation) (0) | 2022.07.30 |
위암 - 위선암(gastric adenocarcinoma) 중심으로 (0) | 2022.07.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