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논문 정리

위암 - 위선암(gastric adenocarcinoma) 중심으로

반응형

위암의 정의와 종류

위에 생기는 암을 통틀어 위암이라고 하지만 근원이 되는 세포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가장 흔하게 발병되는 종류는 위선암으로 위 점막층의 선세포(glandularcell)에서 발생합니다. 드물게는 위의 림프조직에서 발생하는 림프종(lymphoma), 위의 신경 및 근육 조직에서 발생하는 간질성 종양(gastrointestinal stromal tumor), 호르몬을 분비하는 신경내분비암(neuroendocrine tumor) 등이 있습니다. 

 위선암은 위장 점막 조직에서 발생한 세포가 선암성 변화를 보이면서 종괴(종양 덩어리)를 만들거나 악성 궤양을 만드는 암으로, 위의 가장 안쪽을 싸고 있는 점막에서 발생하여 혹의 형태로 커지면서 주로 위벽을 관통하고 위 주변의 림프절로 전이되어 옮겨가며 성장하는 암입니다.

 위암은 다발성의 위점막 위축과 장상피화생을 동반하는 사람에게서 많이 나타납니다. 소화성 궤양은 위암의 발생과 연관이 적은데, 소화성 궤양으로 부분 위 절제를 시행한 경우 위산 저하, 담즙 역류, 위염으로 인해 위암 발생의 위험도가 올라갈 수 있습니다. 

 

위암의 초기 증상

무증상인 경우가 가장 많고, 위염과 같이 속 쓰림, 소화불량, 연하(음식물을 삼키는 행위) 곤란, 오심(토할 것 같은 불쾌감), 식욕감퇴, 조기 포만감, 복통 등이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암이 많이 진행되면 체중감소, 복통, 오심 및 구토, 식욕감퇴, 연하곤란, 배변습관의 변화, 빈혈, 출혈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위염의 종류 : 급성, 만성, 출혈성, 표재성, 위축성, 알코올성 등

위의 구조 위는 전체 위의 약 80%는 왼쪽에 위치하고, 20% 정도만 오른쪽에 위치한 우리 인체 소화 기관 중 가장 큰 장기입니다. 위의 길이는 보통 공복일 때 15~20cm, 폭은 8~10cm 정도입니다. 위염의

health-hjs.tistory.com

 

우리나라에서의 위암의 특징

과거 우리나라의 위암은 통계적으로 고령의 남성에서 흔히 발생합니다. 또한 헬리코박터 감염과 관련이 높고, 장형(intestinal type) 타입이 우세합니다. 반면에 일반적으로 미만형(diffuse type) 위암은 비교적 여성, 젊은 층에서 우위를 보이는 위암으로, 헬리코박터 감염과의 상관성은 여전히 높으나 환경적 영향보다는 유전적 영향이 더 큰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최근의 연구결과 조기 위암의 비율은 80%(90년대 20%, 2000년대 초반 40%, 2010년대 80%) 이상으로 증가하였고, 헬리코박터 감염 양성률의 감소, 전체 위암 중 여성 비율의 증가가 두드러집니다. 

 

위선암의 병리학적 분류

 - 위선암에 대한 병리학적 분류는 세계보건기구(WHO)의 분류를 사용합니다. 

1. 유두모양선암(papillary adenocarcinoma)

2010년 WHO에서는 유두모양선암의 진단 기준이 명확히 규정되어 있지 않지만, 많은 논문에서는 유두모양 선암을 종양의 50% 이상이 유두모양으로 존재하는 암으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유두모양 선암은 고분화, 중분화, 저분화로 분류합니다. 대부분은 고분화에 해당됩니다. 그러나 핵의 비정형이 심하면 예후가 좋지 않으므로 이런 경우 저분화로 분류됩니다. 

2. 관모양선암(tubular adenocarcinoma)

가장 흔한 조직학적 형태인 관모양선암은 고분화, 중분화, 저분화로 분류됩니다. 고분화 관모양선암은 잘 형성된 관 구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저분화 관모양선암은 내강이 뚜렷하지 않고 불규칙한 형태를 보입니다. 중분화 관모양선암은 고분화와 저분화 사이의 중간 소견을 보입니다. 

3. 점액선암(mucinous adenocarcinoma)

종양 세포 유형, 반지세포 여부와 관계없이 종양 병변의 50% 이상이 세포 박 점액질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정의됩니다.

4. 저응집암(poorly cohesive carcinoma)

고립되거나 작은 세포군을 형성하는 응집력이 떨어지는 종양세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유형에는 반지 세포 및 저 응집성을 나타내는 기타 세포 아형이 포함됩니다. 다만 반지 세포 성분이 50%를 초과하는 경우 저 응집 암 대신 반지 세포암으로 별도 진단됩니다. 

5. 혼합암(mixed carcinoma)

선모양(관모양 또는 유두모양)과 반지 세포/저 응집성 성분이 혼합되어 있습니다. 

 

 

초음파 교육하는 황재섭입니다. | Notion

내과에서 초음파를 하면서 의료진과 방사선사에게 초음파 교육을 하고 있습니다.

mixed-chickadee-f8b.notion.site

 

참고 자료 

1. 대한 종양외과학회. 종양이란. 조기발견과 검진

2. 병리학2 제7판. 대한 병리학회

3. 위암의 임상적, 병리학적 특성 변화 : 한국 단일 기관에서의 최근 16년 동안의 보고. 2019

4. 서울대학교병원. N 의학정보. 위선암

5. 한국 위암 치료 가이드라인 2018:근거 중심 다학제 접근법

6. Worse prognosis in papillary, compared to tubular, early gastric carcinoma. 2017

7. The role of endoscopic examination accompanied by histological examination on biopsy samples in the diagnosis of gastric carcinoma. 2011

8. WebPathology. Visual survey of surgical pathology. Gastric adenocarcinoma, mucinous(colloid) type.

9. Solid type poorly differentiated adenocarcinoma of the stomach : clinicopathological and molecular characteristics and histogenesis. 2018

10. Mixed adenoeuroendocrine carcinoma of gastrointestinal tract : Report of two cases. 2015

 

반응형
사업자 정보 표시
오버원프로 | 황재섭 | 서울특별시 관악구 봉천로 576 | 사업자 등록번호 : 418-70-00505 | TEL : 010-7224-7246 | Mail : hjs.sono@gmail.com | 통신판매신고번호 : 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