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료정보

투석 환자의 팔에 혈관은 왜 커질까요?

반응형

말기 신장병 환자는 신장이 제대로 기능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우리 혈액 내에서 노폐물을 잘 걸러주지 못하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인위적으로라도 혈액 내에 노폐물을 걸러 주고 수분을 제거하여 전해질의 균형을 유지해주어야 하는데 그것이 투석입니다. 투석은 복막 투석과 혈액 투석으로 나누어집니다. 

 

주위에 혈액 투석을 받는 분들이 있다면, 투석받는 팔에 혈관이 구불구불하게 커져 있는 것을 보셨을 것입니다. 투석 혈관은 투석받는 환자의 팔에 있는 동맥과 정맥을 이어 만든 자가 혈관 동정맥루와 환자의 혈관 상태가 좋지 않아 인위적으로 만든 인조혈관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주로 혈관이 구불구불하게 커지는 경우는 자가 혈관으로 만든 동정맥루에서 혈관의 확장이 일어난 것입니다. 

 

그럼 투석 혈관은 왜 확장될까요??

혈액 투석을 받는 환자는 일주일에 보통 2~3회 정도 투석을 받게 됩니다. 그런데 자가 혈관에 동정맥루를 만든 부위에 일정한 위치에 주사바늘을 반복적으로 찔러 투석받게 됩니다. 반복적으로 찔린 혈관벽은 얇아지게 되고, 그 얇게 약해진 혈관벽을 확장되어 동맥류를 형성하기 쉽게 됩니다. 

 동맥류가 형성된 혈관벽은 직경이 점점 더 커지고, 혈관벽은 더욱더 얇아지게 됩니다. 커진 동맥류의 혈관벽은 압력이 점점 더 증가하여 심한 경우에는 혈관이 파열될 수도 있습니다. 

 

그렇다면, 투석환자는 어떻게 혈관을 관리하여야 할까요?

투석 받는 환자는 스스로 혈관에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1. 먼저 투석 혈관을 자주 만져보아야 합니다. 정상적인 투석 혈관에서는 스르륵하는 진동이 느껴집니다. 그런데 평소와 다르게 쿵! 쿵! 하는 박동이 느껴진다면 투석혈관에 이상이 생기는 과정일 수 있습니다. 즉시 투석실 담당 간호사에게 이야기하여 의료진의 처방에 따라 추가 검사를 받아 정확한 진단을 받으셔야 합니다. 

2. 투석 후 평균적인 지혈시간을 알아두어야 합니다. 투석 후 지혈하는 시간이 평소보다 더 오래 걸린다면, 투석 혈관에서 나가는 길이 좁아져 압력이 걸린 상태일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즉시 투석실 담당 간호사에게 이야기하여 의료진의 처방에 따라 추가 검사를 받아보아야 합니다. 

 

만성 신장병은 보통 건강검진에서 하는 혈액 검사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건강검진 항목 중에는 크레아티닌이라는 수치가 있는데, 이 수치를 가지고 신장의 기능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사구체여과율(GFR)? creatinine(크레아티닌)? 이게 무슨 말이에요?

신장의 위치 및 구조  신장은 복부 뒤쪽에 위치하고 척추 기준으로 좌우 등쪽에 각각 1개씩 2개가 있습니다. 오른쪽 신장은 간의 아래에 위치하고, 왼쪽 신장은 횡격막과 비장 아래에 위치합니

health-hjs.tistory.com

또한 신장은 초음파 검사를 통해서도 신장의 염증 상태를 의심해 볼 수 있고, 신장에 혹이 생기거나, 신장의 크기가 커지거나 작아지는 등의 급만성 질환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일반인 및 투석 환우 분들에게

개인적으로 혈액 투석실을 운영하는 의료기관에 근무는 의료기사로서 환자분들에게 조금이라도 양질의 의료기술을 드리고자 개인적으로 공부하고 정리하는 내용입니다. 혹여라도 검색해서 이 글을 읽으셨다고 하더라도, 가장 중요한 것은 투석받으시거나 진료받으시는 의료진과의 충분한 진료와 상담입니다. 몸의 이상이나 불편감이 있다면 반드시 주치의나 투석실 간호사 선생님에게 바로 이야기해 주고, 건강한 투석 생활이 되시길 바랍니다.

 

 

초음파 교육하는 황재섭입니다. | Notion

내과에서 초음파를 하면서 의료진과 방사선사에게 초음파 교육을 하고 있습니다.

mixed-chickadee-f8b.notion.site

 

반응형
사업자 정보 표시
오버원프로 | 황재섭 | 서울특별시 관악구 봉천로 576 | 사업자 등록번호 : 418-70-00505 | TEL : 010-7224-7246 | Mail : hjs.sono@gmail.com | 통신판매신고번호 : 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