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검진 결과를 보다 보면 간혹 담낭 선근종증이라는 생소한 용어를 보게 됩니다. 선근종증이 무엇이고, 위험한 것인지 알아보겠습니다.
담낭 선근종증의 정의
담낭의 선근종증은 양성의 과증식성 질환으로 두꺼워진 담낭 벽 내에 작은 낭종들이 관찰됩니다. 이런 작은 낭종들을 벽 내 게실이라고 하고, 담낭의 상피가 증식하면서 근육층으로 비대해집니다. 담낭 상피층이 근육층으로 비대해지면서 담낭 벽 내에 게실(꽈리 모양의 주머니)이 형성됩니다.
생각보다 말이 참 어렵습니다. 결론적으로 담낭 선근종증은 담낭 벽이 두꺼워지고, 두꺼워진 담낭 벽 안에 작은 낭종들이 있는 특징적인 질환을 말합니다.
담낭 선근종증의 증상
특별한 증상은 없습니다. 다만 담낭 안에 돌을 동반하고 있다면 오른쪽 갈비뼈 아래쪽에 통증이 있을 수 있습니다.
담낭 선근종증의 종류
담낭 선근종증은 총 세 가지 형태로 구분됩니다. 미만형(diffuse type) , 분절형(segmental type) , 국소형(focal type) 이렇게 세 가지로 나뉩니다.
1. 미만형은 담낭벽이 전체적으로 두꺼워지는 것을 말합니다. 종종 담낭의 염증과 감별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2. 분절형은 담낭이 아령처럼 가운데 부분만 손잡이가 생기는 것처럼 담낭 벽이 두꺼워지면서 담낭 내 공간이 작아지는 것을 말합니다.
3. 국소형은 담낭의 가장 끝부분인 기저부 부분만 담낭벽이 두꺼워지는 경우를 말합니다.
담낭 선근종증 검사
보통 복부 초음파, 복부 전산화 단층촬영(CT), 내시경 초음파(EUS) 세 가지로 진행됩니다.
1. 복부 초음파는 가장 흔하게 접근할 수 있는 검사입니다. 보통의 종합검진에 기본 패키지로 포함되어 있어 증상이 없는 일반인들도 쉽게 검사를 받을 수 있습니다.
2. 복부 전산화 단층촬영(CT)는 복부 초음파에서 담낭벽에 이상이 생겼을 때 보통 의료진의 처방에 의해 검사가 진행됩니다. 복부 CT의 경우 담낭 등 하나의 장기만 보는 것이 아니라 복부 전체의 다양한 장기들에 전이 여부까지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보통 복부 CT 검사의 경우 조영제를 이용하여 검사하기 때문에 의료진과 충분한 상담 후 검사가 진행됩니다.
3. 초음파 내시경 검사(EUS)는 고주파의 초음파가 장착된 특수 내시경을 이용하여 환자의 입부터 위, 십이지장으로 장비를 삽입합니다. 십이지장 벽에 삽입된 내시경 초음파를 이용하여 췌장이나 담낭 및 담관을 높은 해상도의 초음파를 이용하여 선명하게 병변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초음파 검사나 CT와 달리 공기나 배의 피하지방, 복부 내 뼈 등의 영향을 받지 않고 췌장이나 담낭 그리고 담관을 선명하게 관찰할 수 있습니다. 또한 검사 과정 중 실시간으로 세포 검사나 조직검사를 안전하게 시행할 수 있어 정확하게 질병을 진단할 수 있습니다. 다만 초음파 내시경은 대학병원이나 상급병원에 주로 있어 일반적인 병의원에서는 검사받기 쉽지 않습니다.
담낭 선근종증 초음파 내시경 검사
담낭벽이 전체적으로 두꺼워지거나 부분적으로 두꺼워진 경우, 담낭암이나 다른 양성 질환들과 혼동될 수 있습니다. 보통 담낭벽이 두꺼워지는 원인은 담낭암, 만성 담낭염, 담낭 선근종증, 황색 육아종성 담낭염 등의 담낭 자체적인 병변이 있고, 급성 간염, 간경변(간경화), 심부전, 신부전, 영양실조 등의 담낭 외 질환도 있습니다.
담낭 자체적인 병변으로 인해 담낭이 두꺼워지는 경우, 가장 중요한 것은 악성(담낭암 등)과 양성의 구분입니다. 담낭의 경우 CT보다는 초음파가 진단에 도움을 더 주기 때문에 보통 복부초음파 후 필요하다면 내시경 초음파를 진행합니다.
담낭 선근종증의 종류 중 국소형의 경우 복부초음파 상 진단이 어려운 경우가 종종 있고, 분절형의 경우 고령의 환자에서 담낭암이 발생한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내시경 초음파에서는 복부 초음파에 비해 가스로 인한 그림자가 적어 담낭을 가장 가까이에서 검사할 수 있어 국소형의 선근종증 진단에 도움을 줍니다.
담낭 질환의 진료과 선택
담낭 질환은 내과와 일반외과 등 두 가지의 진료과를 이용하여 관리받을 수 있습니다.
내과(소화기내과)의 경우 작은 크기의 담낭 용종, 담낭 결석, 그리고 담낭벽 비후 등의 질환 등을 주기적으로 초음파를 이용하여 의료진의 상담과 검사로 관리를 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내과 등에서 검사 및 진료를 통하여 담낭암 의심 등으로 담낭을 수술해야 한다는 소견을 받은 경우에는 일반외과 전문의의 진료를 통하여 수술을 해야 할지 추적관찰을 해야 할지 진단이 필요합니다.
초음파 교육하는 황재섭입니다. | Notion
내과에서 초음파를 하면서 의료진과 방사선사에게 초음파 교육을 하고 있습니다.
mixed-chickadee-f8b.notion.site
참고문헌
1. 대한 췌장담도학회, EUS란
2. 담낭질환의 진단에 있어 EUS의 역할. 이상수.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소화기내과학교실
3.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담낭 선근종증
'의료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방암 상피내암(1) - 증상, 정의, 검사 (0) | 2022.07.04 |
---|---|
설사에 대하여 (0) | 2022.05.24 |
빈혈(anemia)과 철분제에 대하여 (0) | 2021.11.05 |
부신(adrenal gland)에 혹(mass)이 생겼다면? (0) | 2021.10.11 |
강직성 척추염(spondylitis)은 어떻게 진단이 되나요? (0) | 2021.1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