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료정보

부신(adrenal gland)에 혹(mass)이 생겼다면?

반응형

건강검진으로 복부 초음파를 받거나, 복부 CT 검사를 받게 되면 우연히 부신이라는 장기에 혹이 생겼다는 이야기를 종종 들을 수 있습니다. 부신은 어디에 있고, 무슨 기능을 하는지, 또 부신에 혹은 어떤 의미인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부신의 위치 및 모양

 정상 부신의 크기는 아래위 길이가 4~6cm, 좌우 너비가 2~3cm, 앞뒤 두께가 약 3~6mm 정도입니다. 전반적인 모양은 보통 뒤집어진 'Y', 'V', 또는 'T'자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오른쪽 부신은 보통 오른쪽 신장의 윗부분 1~2cm 정도에 위치하고, 왼쪽 부신은 오른쪽 부신과 거의 같거나 약간 아래쪽에 위치합니다. 우리 몸을 기준으로 보자면, 양쪽 척추 가까운 등 쪽에 위치해있다고 생각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출처 : National Cancer Institute Visuals Online , https://visualsonline.cancer.gov/details.cfm?imageid=4355

부신의 기능에 따른 질환

 부신은 인체의 항상성을 유지하고 스트레스에 적응하기 위한 장기입니다. 부신은 피질과 수질로 구성되어 있고, 구조나 기능이 각각 다릅니다. 

 부신 피질 기능 저하증이 생기면 에디슨병이라고 명명하며 코르티솔이 부족하여 전신쇠약, 체중감소, 오심 구토, 색소 과다 침착 등이 발생합니다. 부신 피질 기능 저하는 부신 조직을 스스로 파괴하는 자가면역 질환, 결핵, 후천성 면역결핍 증후군(에이즈, AIDS), 침윤성 종양, 뇌하수체 기능 저하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 장기간 스테로이드 제재를 복용하다가 갑자기 중단한 경우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부신 수질 종양(크롬 친화성 세포종)은 카테콜아민을 과잉 분비하여 발작성 고혈압, 심계항진(두근거림), 두통, 발한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은 양성 종양이고, 적절한 처치 후 보통 수술적 치료를 진행합니다. 

 

부신 선종(Adrenal adenoma)

부신에서 발생하는 가장 흔한 종양입니다. 대부분은 기능성 질병이 아니며, 풍부한 지방 성분을 포함하는 큰 세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보통 3cm 이하의 크기로 작고, 경계가 좋은 종괴로 관찰되며 추적검사에서 크기의 변화가 없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부신 낭종(Adrenal cyst)

 부신낭종은 아주 드문 혹입니다. 보통 기능성 질병은 아니고, 대부분 우연히 발견됩니다. 보통은 작지만 드물게 10cm 이상으로 큰 경우도 있습니다. 

 

부신 물혹 (낭종, adrenal gland cystic lesion)에 대하여...

부신은 출생 당시에는 신장 크기의 약 1/3 정도이다가, 성인이 되면 신장 크기의 약 1/30으로 크기가 작아집니다. 그래서 태아 또는 신생아 때는 초음파 검사를 통해 쉽게 부신을 확인할 수 있지만

health-hjs.tistory.com

 

선천성 부신 증식증(Congenital adrenal hyperplasia)

 선천성 부신 증식증은 부신피질호르몬의 생산에 필요한 효소를 조절하는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생기면서 부신피질 호르몬을 분비하는 부신의 기능이 손상되어 나타나는 질환입니다. 

 일반적으로 심각한 형태의 선천성 부신 증식증은 비정상적으로 커진 부신에서 안드로겐이라는 남성 호르몬이 지나치게 많이 생성되면서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성적 발달이 비정상적으로 나타납니다. 75%의 환자는 코르티솔과 알도스테론이 감소하여 부신 위기가 나타나면서 탈수와 쇼크 상태에 빠지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 질환에 대한 조기 진단과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생명이 위험할 수 있습니다. 

 선천성 부신 증식증으로 인해 여성들은 외부성기의 음핵이 비정상적으로 커지면서 남성의 성기와 비슷한 모습을 보이기도 하며, 어떤 경우에는 여자 아이를 남자아이로 착각할 수도 있습니다. 남자아이들의 성기는 정상이지만 안드로겐이 계속해서 많이 분비되므로 조기 노화를 보일 수도 있고, 빠른 신체 성장, 조기 사춘기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선천성 부신 증식증은 혈액검사와 소변을 통해 진단할 수 있습니다. 일단 선천성 부신 증식증이 의심되면 비뇨기과와 내분비과 전문의의 진료를 통해 가족력을 포함한 자세한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초음파 교육하는 황재섭입니다. | Notion

내과에서 초음파를 하면서 의료진과 방사선사에게 초음파 교육을 하고 있습니다.

mixed-chickadee-f8b.notion.site

 

참고문헌

1. 부신질환의 영상진단.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영상의학과학교실. 조재호

2. National Cancer Institute Visuals Online , https://visualsonline.cancer.gov/details.cfm?imageid=4355

3. 분당서울대학교 병원, 내분비대사내과, 주요 질환, 부신 기능 이상 및 종양

4. 희귀 질환 헬프라인(질병관리청 희귀 질환 관리과). 선천성 부신 증식증

 

반응형
사업자 정보 표시
오버원프로 | 황재섭 | 서울특별시 관악구 봉천로 576 | 사업자 등록번호 : 418-70-00505 | TEL : 010-7224-7246 | Mail : hjs.sono@gmail.com | 통신판매신고번호 : 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