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의 구조
위는 전체 위의 약 80%는 왼쪽에 위치하고, 20% 정도만 오른쪽에 위치한 우리 인체 소화 기관 중 가장 큰 장기입니다. 위의 길이는 보통 공복일 때 15~20cm, 폭은 8~10cm 정도입니다.
위염의 원인
1. 짜거나 매운 음식, 오래되어 상한 음식 등을 먹거나 폭식을 했을 때 생길 가능성이 있습니다. 과음을 하거나 흡연을 많이 했을 때에도 생길 가능성이 있습니다.
2. 아스피린 등의 소염 진통제나 스테로이드 약물을 먹었을 때 위염이 생길 가능성이 있습니다.
3. 갑작스러운 쇼크나, 수술, 화상 등 여러 원인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 생길 수 있습니다.
4. 장염이나, 콜레라 등 여러 세균에 의해 감염성으로 위염이 생길 수 있습니다.
5. 헬리코박터균에 의해서도 위염이 생길 수 있습니다.
위염의 증상
상복부 통증, 토할 것 같은 불쾌함(오심), 복부 팽만감, 권태감 등이 있을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토혈을 하기도 합니다. 반면에 아예 증상이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위염의 병리학적 진단
위염은 조직학적으로 위 점막의 염증세포의 침윤이 있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위염은 위 점막에 염증세포가 400 배율 상에서 3개 이상 관찰될 때 진단할 수 있습니다. 급성 염증 시에는 호중구 수치가 증가하고 만성 염증 시에는 단핵구 수치가 증가합니다.
위염의 종류
원인별 종류로는 출혈성 위염, 급성 위염, 알코올성 위염, 표재성 위염, 위축성 위염, 만성 위염, 미란성 위염, 비후성 위염, 화농성 위염, 담즙 역류성 위염, 특발성 위염 등이 있습니다.
생활 습관 개선
1. 너무 과하지 않고 신선한 음식으로 규칙적인 식습관을 유지합니다.
2. 음주나 카페인 섭취를 줄입니다.
3. 철분 및 당질이 많은 음식을 섭취하고, 지방식을 일시적으로 제한합니다.
4. 복용하는 약이 있다면 전문의의 진료 상담을 통해 약에 대한 상담을 받습니다.
5. 증상이 심할 시 전문의의 진료를 통해 약을 처방받아 복용합니다.
참고 문헌
1. 간호사가 알려주는 홈케어. 소화기 질환. 위장 질환. 위염
2. 위염의 다양한 내시경 소견 및 그 의미. 건국대학교 의학 전문 대학원 내과학교실. 이선영
'의료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caliectasis(신배 확장) VS parapelvic cysts(신우 주위 낭종) (0) | 2022.08.03 |
---|---|
어린이(청소년, 소아) 갑상선 질환 (0) | 2022.07.29 |
edema(부종) VS swelling(종창) (0) | 2022.07.22 |
경동맥 초음파와 동맥경화 고지혈증 치료제 스타틴 (0) | 2022.07.20 |
건강 검진 폐CT 상 간유리 음영이라고 나오는데 이게 무슨 말인가요? (0) | 2022.07.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