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의료정보

어린이(청소년, 소아) 갑상선 질환 갑상선 질환은 청소년기에 흔한 편입니다. 특별히 갑상선 호르몬은 성장과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호르몬입니다. 태아와 영아기 때 갑상선 기능의 이상은 뇌와 골격계 발달에 이상을 줄 수 있고, 소아 및 청소년 시기에는 성장과 사춘기 발달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갑상선의 기능 갑상선은 호르몬을 만들고 내보내는 내분비 기관입니다. 갑상선에서 만들어지는 호르몬은 혈청 단백질에 결합되어 있는데 이중 0.02~0.3% 정도만 세포 내에서 생물학적인 작용을 하게 됩니다. 갑상선 자극 호르몬은 뇌 안에 있는 뇌하수체(시상하부) 신경 세포에서 관리됩니다. 선천성 갑상선 기능 저하는 갑상선 자체에 이상으로 생기는 것이고, 이차성 또는 중추성 갑상선 저하증은 뇌하수체의 이상으로 이차적으로 생기는 경우를 말합니다. 출생.. 더보기
위염의 종류 : 급성, 만성, 출혈성, 표재성, 위축성, 알코올성 등 위의 구조 위는 전체 위의 약 80%는 왼쪽에 위치하고, 20% 정도만 오른쪽에 위치한 우리 인체 소화 기관 중 가장 큰 장기입니다. 위의 길이는 보통 공복일 때 15~20cm, 폭은 8~10cm 정도입니다. 위염의 원인 1. 짜거나 매운 음식, 오래되어 상한 음식 등을 먹거나 폭식을 했을 때 생길 가능성이 있습니다. 과음을 하거나 흡연을 많이 했을 때에도 생길 가능성이 있습니다. 2. 아스피린 등의 소염 진통제나 스테로이드 약물을 먹었을 때 위염이 생길 가능성이 있습니다. 3. 갑작스러운 쇼크나, 수술, 화상 등 여러 원인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 생길 수 있습니다. 4. 장염이나, 콜레라 등 여러 세균에 의해 감염성으로 위염이 생길 수 있습니다. 5. 헬리코박터균에 의해서도 위염이 생길 수 있습.. 더보기
edema(부종) VS swelling(종창) 부종과 종창 나타나는 증상은 비슷한데, 발생하는 원리의 차이가 있습니다. edema와 swelling에 대해 공부해보겠습니다. edema(부종) 1. 정의 : 조직 내 림프액이나 조직의 삼출물 등 액체가 저류 되어서 과잉 존재하는 상태 2. 발생 위치에 따른 분류 : 피하부종, 폐 부종, 복수 3. 발생기전에 따른 분류 : 울혈성 부종, 염증성 부종, 혈관 운동성 부종, 기아성 부종, 신장으로 인한 부종 a. 울혈성 부종 - 다른말로 기능성 부종이라고도 말합니다. 정맥이나 림프관의 협착, 폐쇄로 인해 정상적인 흐름이 방해 받았을 때 발생하는 부종을 말합니다. b. 염증성 부종 - 염증성 변화로 인해서 혈관의 투과성이 항진되어 혈관 속에 있는 수분이 조직으로 많이 짜져 나가면서 생기는 부종을 말합니다. c.. 더보기
경동맥 초음파와 동맥경화 고지혈증 치료제 스타틴 보통의 동맥은 안쪽 벽이 깨끗하고 탄력이 좋습니다. 우리 인체 내에서 동맥은 심장에서 우리 인체 근육이나 주요 장기들로 흘러들어 가면서 산소가 풍부한 혈액을 운반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혈액에 기름기가 끼게 되면 혈류의 속도도 느려지고, 혈관의 직경이 늘어나면서 혈류 속도도 느려집니다. 그러면서 혈관은 탄력을 잃고 혈관 벽 안쪽에 찌꺼기가 끼면서 동맥 혈관 벽의 폭이 좁아집니다. 이를 동맥경화라고 합니다. 최근 우리는 건강검진이나 진료를 통해 경동맥 초음파를 쉽게 받을 수 있습니다. 경동맥 초음파로는 보통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이 있는 환자들에게서 쉽게 볼 수 있는 혈관 찌꺼기인 플라그나 혈관벽이 두꺼워지는 동맥경화를 간편하고 인체에 해가 없는 방법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경동맥이 우리 인체 전.. 더보기
건강 검진 폐CT 상 간유리 음영이라고 나오는데 이게 무슨 말인가요? 악성 종양의 병력이 없는 환자에서 폐에 5mm 미만의 결절이 악성 종양으로 확인될 확률은 1%가 안된다고 합니다. 남자 흡연자의 경우 비흡연자에 비해서 폐암이 발행할 확률이 10배 정도 높다고 합니다. 종합검진(건강검진)이 보편화되다 보니 증상이 없는 일반인들도 폐 CT 검사를 많이 하게 됩니다. 건강 검진 결과지를 받게 되면 간유리음영(GGO, ground glass opacity)이 폐에 있다는 결과가 종종 나오게 됩니다. 폐에 생기는 간유리 음영이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간유리 음영의 정의 간유리 음영은 보통 폐 CT에서 기관지나 폐혈관의 윤곽을 볼 수 있는 정도로 밝게 보이는 음영으로 염증, 출혈, 섬유화, 종양 등의 다양한 병변에서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간유리 음영에도 여러 종류가 있습니다. .. 더보기
만성 신장 질환에서 혈액 투석로의 재협착 발생 기전 혈액 투석환자에게 투석 혈관로인 동정맥루(arterio venous fistula, AVF)는 생명줄과 같이 중요합니다. 이 동정맥루에서 생기는 합병증으로는 크게 협착(stenosis), 폐색(occlusion), 그리고 감염(inflammation)이 있습니다. 이 중에서 협착과 폐색은 주록 내막 증식증에 의해 발생합니다. 이런 합병증이 있을 때 제일 먼저 경피적 혈관 성형술(PTA, percutaneous transluminal angioplasty)이 시도될 수 있습니다. 보통 PTA로 좁아지거나 막힌 혈관을 뚫는다고 하더라도, 보통 다시 협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보통 6개월 동안 재협착이 일어나는 확률이 36~62% 정도 된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혈액 투석로의 이학적 검사 일반적으로 인조 혈관.. 더보기
hyperplasia(과다 형성, 증식), hypertrophy(비대), ectasia(확장) 의료적인 용어를 보면 비슷한 용어인데 구체적으로 무엇을 의미할지 모를 때가 있습니다. hyperplasia, hypertrophy, ectasia에 대해 정리해보았습니다. Hyperplasia - 과다 형성, 증식이라고 말합니다. 기능 항진을 유발시키는 자극을 받았을 때 분열 가능한 세포가 세포분열로 그 수가 증가되는 것을 증식이라고 합니다. 결과적으로는 그 조직이나 장기도 커지게 됩니다. - 비대는 단순히 세포의 증식이 없이 세포의 크기만 커지는 경우를 말합니다. - Hyperplasia is increased cell production in a normal tissue or organ. Hyperplasia may be a sign of abbormal or precancerous changes. .. 더보기
유방암 상피내암(2) - 수술과 치료 "유방 조직 검사에서 유방 상피내암이라고 진단받았습니다. 유방 상피내암은 어떻게 치료하게 되나요?" 유방 상피내암과 림프절 순수한 상피내암의 경우 연구에 따르면 매우 낮은 액와부(겨드랑이) 림프절 전이를 보이고, 대부분 경미한 전이를 보이고 있어 보통 액와부 림프절 절제술이나 림프절 조직검사는 권장되니 않습니다. 그러나 유방 전절제술을 계획하고 있거나, 유방 보존술을 시행하는 경우 유방암의 위치가 액와부에 가깝거나 진단된 상피내암이 안 좋게 변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선택적으로 림프절의 조직검사를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유방 상피내암의 수술 보통 유관 상피내암(DCIS)과 소엽 상피내암(LCIS)의 치료 전에 유방 조직 검사와 호르몬 검사 등 조직 병리 검사를 진행합니다. 또한 영상의학과 검사를 통해 ..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