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다낭성 신장 질환. polycystic kidney disease 가족이나 친척들이 모이면 얼굴 생김새나 식습관이 비슷하다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또한 질병도 비슷하게 가지고 있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신장(콩팥) 질환 중에서 대표적으로 유전이 되는 질환이 있습니다. 그것이 바로 다낭성 신장 질환입니다. 다낭성 신장 질환은 신장에 낭종(cyst, 물주머니)이 많이 생기는 것을 일컫는 질환입니다. 주로 액체거나 반액체 성분을 가진 주머니를 낭종이라고 하는데, 낭종이 많아지면 정상적인 신장의 조직을 수많은 낭종들이 대체하게 됩니다. 그러면서 신장의 크기가 커지고, 기능이 점차 떨어지게 됩니다. 다낭성 신장 질환을 가진 환자의 70% 정도에서 65세 이전에 신장 기능이 상실되는 만성 신부전증이 생기고, 결국 신장이식이나 신장투석을 받게 됩니다. 다낭성 신장 질환의 정.. 더보기
문맥압 항진증 평가 _ 도플러 초음파. assess portal hypertension _ doppler ultrasound 간경변증 환자에서 문맥압 항진증 진단 및 평가는 아주 중요하다. 현재까지 문맥압 항진증을 평가하는 가장 정확한 방법은 간정맥 압력차(hepatic venous pressure gradient)를 측정하는 방법이지만, 침습적인 방법으로 임상에서 항상 사용할 수 없는 방법이다. 아직 검사자 간 재현성 부족으로 인해 임상적 유용성에 있어 많은 이견이 있으나, 도플러를 이용한 초음파 검사방법은 간경변증에 의한 혈류학적 평가에 있어 도전해볼 만한 가치가 있다. (계속 시도해보고 있으나, 생각처럼 쉽게 평가되지는 않는다.) 검사 방법 환자가 호기 후 최소한 5초간 호흡을 정지한 후 혈류 평가를 한다. 약 3회 정도 반복 측정하여 평균값을 구하면 더 좋다.  1. 간문맥(portal vein)의 혈류학적 평가 - 간.. 더보기
사구체여과율(GFR)? creatinine(크레아티닌)? 이게 무슨 말이에요? 신장의 위치 및 구조 신장은 복부 뒤쪽에 위치하고 척추 기준으로 좌우 등쪽에 각각 1개씩 2개가 있습니다. 오른쪽 신장은 간의 아래에 위치하고, 왼쪽 신장은 횡격막과 비장 아래에 위치합니다. 높이는 보통 11번째 흉추와 3번째 요추 사이에 위치합니다. 보통 성인 기준으로 길이는 11~12cm, 폭은 5~6cm, 두께는 2.5~3cm 정도 됩니다. 신장은 혈액 중의 노폐물을 거르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신장동맥 및 신장정맥을 지나 복부대동맥 및 하대정맥같은 큰 혈관에 연결되어 있습니다. 신장에서 만들어진 소변은 신배, 신우 등 신장 구조물을 지나 요관을 거쳐 방광에 저장되고 요도를 통해 몸 밖으로 배출됩니다. 신장의 기능 신장은 혈액 속의 노폐물을 걸러내어 소변으로 배출시키고, 혈액 속의 전해질 농도를 조절.. 더보기
대사증후군이란? 최근 국제학술지 'Cancer'의 발표 중 삼성서울병원 신동욱 교수 및 전소현 교수 , 강북삼성병원 최인영교수 공동연구팀의 연구에 따르면 폐경기 여성(40~74세) 93만여명을 분석한 후 "대사증후군을 개선하는 것만으로도 유방암을 예방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라는 결과를 내었습니다. 대사증후군이 무엇이고, 어떻게 관리하면 좋을지 정리해봅니다. 대사증후군이란 심뇌혈관질환 및 당뇨의 위험을 높이는 체지방 증가, 혈압 상승, 혈당 상승, 혈액 중 지질 이상 등의 상태들의 집합을 칭하여 말합니다. 보통의 경우 대사증후군이 있으면 심혈관 질환이 일반인에 비해 2배 이상 올라가고, 당뇨의 발병을 10배 이상 증가시킵니다. 이런 대사증후군은 유전적인 원인과 환경적인 인자로 인해 함께 발생하는 포괄적 질병으로 알려져 .. 더보기
대장암 증상은 어떻고 내시경 검사나 치료는 어떻게 진행되나요? 대장의 위치 및 구조 대장은 우리 몸의 소장의 끝에서 시작해서 항문까지 이어지는 소화기관입니다. 길이는 보통 1.5m 정도로 이루어진 기관이고, 맹장, 결장, 직장, 항문으로 나뉩니다. 결장은 더 세분화하면 상행결장, 횡행결장, 하행결장, S자 결장으로 나뉩니다. 대장의 직경은 맹장 부분이 약 8cm정도로 가장 크고, 항문 쪽으로 갈수록 점점 줄어들면서 S자 결장에서 약 2.5cm 정도로 줄어들었다가 직장에서 다시 약 4.5cm 정도로 커지고, 항문에서 마지막으로 다시 줄어듭니다. 대장은 크게 4개의 층으로 이루어져있습니다. 점막(mucosa) , 점막하 조직(submucosa), 근육층(muscularis propria), 장막(serosa)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대장의 기능 대장은 수분을 흡수하고 .. 더보기
경부 림프절(neck lymph node). cervical lymph node 개요 - 림프절은 생성된 림프구를 유지하고 적응 면역 반응을 담당하는 말초 림프 기관이다. - 두경부, 액와부, 복부의 주요 혈관 부근, 서혜부, 사지의 주요 혈관구조를 따라 집중되어 있다.  - 우리 전신에 약 450~600여 개의 림프절이 분포되어 있다.  - 청소년이나 젊은 성인의 경우 바이러스 및 세균 감염에 의한 염증성 림프절염이 주된 원인이지만, 50세 이상의 성인에서는 악성종양의 빈도가 증가한다.  정상 림프절 - 크기는 보통 3~25mm로 다양하고, 특히 턱밑과 상부 경정맥 주위의 림프절들이 크기가 크다.  - 정상 또는 반응성 림프절의 초음파 소견은 타원형의 저에코 피질 중심부에 고에코의 지방문이 존재하며 도플러 검사에서 지방문을 따라 혈류 패턴을 확인할 수 있다. 단 고에코의 지방문이 .. 더보기
췌장암 초기증상은 어떤가요? 췌장 위치 췌장을 두고 우리는 후복막 장기라고도 부릅니다. 말의 뜻은 복부의 막안(복강)에 위치하고, 뒤편에 위치하는 장기라는 말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췌장을 만지고 싶어도 만질 수 없고, 불가피하게 수술을 하게 되어 개복(배를 열어) 수술을 해도 바로 췌장이 나타나지 않습니다. 수많은 장기들에 둘러쌓여 몸속 깊숙이 위치하고 있고, 췌장의 머리 부분은 십이지장과 연결되어 있고, 췌장의 꼬리 부분은 비장과 맞닿아 있습니다. 췌장은 머리 몸통 꼬리 순으로 이루어져 있고, 꼭 올챙이와 닮아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리고 췌장암은 보통 췌장 머리(췌두부)에서 많이 발생합니다. 췌장의 머리는 특별히 십이지장과 위와 인접하고 있어 췌장검사를 할 때에는 반드시 금식이 필요합니다. 췌장 물혹 췌장의 물혹은 건강검진 할 .. 더보기
췌장 낭성 병변과 초음파. cystic lesion of the pancreas - 다른 복부 장기들과 달리 췌장에 생긴 낭성 병변은 영상의학검사에서 단순 낭종처럼 보이더라도 간과해서는 안되는 병변임   - 잠재적으로 악성 병변으로 진행할 가승성이 있음   - 관내 유두상 점액성 종양(intraductal papillary mucinous neoplasm)과 같은 점액성(mucinous) 낭성 병변은 췌장암의 위험도가 있음 - 3cm 미만의 작은 췌장 낭성 병변의 경우 악성의 빈도가 낮다고 보고됨. - 증상이 없는 환자에서 우연히 발견된 악성 낭성 병변(malignant cyst lesion)은 낮게 보고됨.(약 3.5%) - 우연히 발견된 췌장 낭종들은 가성낭종보다는 종양성 병변일 가능성이 훨씬 높음 - 특히 췌장염을 동반하지 않는 경우에는 낭성 종양으로 간주하고 치료방침을 결정해.. 더보기

반응형